취업 필수품 '스펙', 너무 높으면 오히려 역효과?
취업 필수품 '스펙', 너무 높으면 오히려 역효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사담당자 10명 중 6명 "고스펙 지원자, 부정적"

취업 필수품으로 여겨지는 ‘스펙’이 너무 높으면 오히려 역효과인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이 기업 인사담당자 173명을 대상으로 ‘고스펙 지원자에 대한 생각’을 조사한 결과를 13일 공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인사담당자 65.3%가 “요구조건보다 뛰어난 스펙을 갖춘 지원자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한다”고 대답했다.

부정적인 이유로는 ‘쉽게 이직 및 퇴사할 것 같아서’(56.1%, 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실제로 고스펙 지원자를 채용한 기업 인사담당자(65명)가 말하는 고스펙 직원의 이직 및 퇴사율은 일반 직원과 비교해 ‘높은 편’이라는 응답이 66.2%로 ‘낮은 편’(3.1%)의 20배에 달했다.

계속해서 ‘더 높은 연봉을 요구할 것 같아서’(27.7%), ‘묻지마 지원자일 것 같아서’(26.6%), ‘실무능력은 오히려 떨어질 것 같아서’(26%), ‘조직 적응력이 떨어질 것 같아서’(20.8%) 등의 응답이 이어졌다.

한편, 실제로 고스펙 지원자에게 감점 및 불이익을 주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26%가 지원자의 고스펙으로 인해 감점 및 불이익을 준 적이 있다고 대답했다. 그 사례로는 ‘석, 박사 등 높은 학력’(60%, 복수응답)을 첫 번째로 꼽았다. 다음으로 ‘SKY 등 명문대 학벌’(44.4%), ‘어학연수 등 많은 해외 경험’(17.8%), ‘화려한 수상 경력’(17.8%), ‘다수의 자격증’(15.6%), ‘화려한 집안배경’(13.3%), ‘많은 인턴십 경험’(13.3%) 등이 있었다.

실제로 75.6%는 고스펙으로 감점 및 불이익을 받아 탈락한 지원자가 있다고 밝혔다.

한편, 올해 신입사원 채용 시 고스펙으로 판단되는 지원자의 비율은 전체 지원자의 평균 23%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이는 작년보다 ‘증가했다’는 응답이 19.1%로 ‘감소했다’(4.5%)보다 4배 이상 많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