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사 발표한 바에 따르면 겨울철(12~2월) 발생한 식중독은 최근 5년간(2008년~2012년) 연 평균 48건(956명)으로 1000여명에 달하고 이 중 노로바이러스로 인한 식중독은 건수로는 3분의 1, 환자수로는 절반(53%)에 달한 것으로 드러났다.
노로바이러스는 일반세균과 달리 낮은 기온에서도 오래 생존 가능하며 적은 양으로도 발병이 가능하며, 추운 날씨로 인해 손 씻기 등 개인위생 관리가 소홀해지기 쉽고 주로 실내에서 활동하게 돼 사람 간 감염이 쉬워 겨울철 식중독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중 겨울철 발생 비율을 보면 2008년(28%)을 제외하고는 2009년 38%, 2010년 45%, 2011년 42%, 2012년 48% 등 절반에 가까운 수치가 나타났다.
식약처는 겨울철에 많이 발생하는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예방을 위해 음식물을 섭취하기 전 항상 손씻기 등 개인 위생관리에 특별히 관심을 가져 줄 것을 당부했다.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예방법은 △ 화장실 사용 후, 조리 전, 외출 후 비누를 이용하여 흐르는 물에 20초 이상 깨끗이 손 씻기 △ 조리기구는 열탕 또는 염소 소독 △ 채소, 과일 섭취 전 반드시 세척 또는 가열 △ 굴 등 어패류의 생식 삼가 △ 지하수는 반드시 끓여서 마시기 △ 음식물은 내부까지 충분히 익도록 가열 조리(85℃, 1분 이상) 등이다.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와 노약자가 이용하는 사회복지시설 및 집단급식소에서도 식중독 예방을 위해 △ 정기적인 수질 검사로 오염 여부 확인 △ 주변 정화조나 하수관의 균열 살펴 교체 △비가 올 때 지표의 오염물질이 지하수 배관으로 스며들지 않도록 주의하기 △ 노로바이러스 감염된 종사자가 절대로 음식물 조리·취급하지 않기 △ 지하수는 살균·소독된 것을 사용하기 등의 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혹여, 조리종사자가 배탈, 설사, 구토 증상을 보이는 경우 인근 보건소 또는 의료기관에 신속히 신고해 식중독 감염을 방지해야 한다. 자세한 정보는 식중독 예방 대국민 홍보사이트(www.mfds.go.kr/fm) 또는 모바일 웹(m.mfds.go.kr/fm)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