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명균 “노 전 대통령, 삭제 지시 없었다” 부인
조명균 “노 전 대통령, 삭제 지시 없었다” 부인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초본, 결제 안된 미완성 서류…검찰 ‘열람도 결재’ 이해 안돼”
▲ 조명균 전 청와대 비서실장이 18일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검찰의 '대화록 삭제 및 미이관' 수사 발표에 대해 "노무현 전 대통령은 삭제 지시를 내린 적이 없다"고 반박했다. ⓒYTN

2007년 남북정상 대화록 삭제 의혹에 대해 검찰이 노 전 대통령의 지시로 삭제 됐다는 결론을 내린 것과 관련, 조명균 전 청와대 안보정책비서관이 “노 전 대통령의 지시가 없었다”고 부인했다.

조 전 비서관은 18일 오전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검찰 조사 당시 “부정확한 기억을 토대로 한 잘못한 진술”이라며 “노무현 대통령님께서 이걸 은폐해라,고 지시할 아무런 이유가 없지 않냐”고 반문했다.

그는 “저는 일반 공무원으로 가서 (청와대에서) 일했고 지금도 노무현재단이라든가 이쪽과는 상관이 없다”며 “그런 상황에서 제가 굳이 이 문제를 가지고 사실과 다르게 진술할 이유도 없다”고 주장했다.

또한 그는 국가기록원 미이관에 대해 “저도 그동안 회의록은 당연히 국가기록원에 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며 “그런데 지난 국회에서 조사할 때도 검찰 수사결과에도 국가기록원에 없다, 이렇게 나와서 상당히 의아스럽다”고 밝혔다.

이어 “제가 2월 달에 제가 최종본을 메모 보고로 이지원으로 올린 것으로 돼있는데, 그때 저는 이지원으로 올리게 되면 당연히 이것이 국가기록원으로 넘어갈 것이라고 예상했다”면서 “2008년 2월 달에는 이관을 하기 위해서는 문서로 같이 이관을 했어야 했는데, 그냥 이지원에만 등재하면 통상적으로 다 이관됐기 때문에 그렇게 생각을 했다”고 전했다.

아울러 ‘초본도 결재를 마친 상태에기 때문에 대통령 기록물’이라는 검찰의 주장에 대해 “10월 9일날 초본을 보고 드린 것에 대해서 대통령님께서 우선 10월 10일날 1차적으로 ‘열람했다, 봤다’ 버튼을 누르셨고, 그 바로 직후에 21일날 이건 재검토해라. 후에 수정본을 이지원에 등재하라”고 구체적인 지시를 내렸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그러니까 당연히 초본은 결재되지 않은 미완성된 서류”라며 “검찰은 열람도 결재다. 라고 말하는데, 그때 당시에 같이 청와대에 근무했던 모든 분하고 상의를 해 봐도 검찰 발표가 이해가 안 간다고 했다”고 강조했다.

조 전 비서관은 검찰의 ‘대화록 사건’ 결론에 대해 “검찰에서는 제가 진술한 것 중에서도 일부만 인용을 했다”며 “이런 식으로 결론을 내린 것에 대해서 상당히 의아스럽고 납득하기 어렵다”는 반응을 보였다.

앞서, 노무현 재단과 조 전 비서관은 지난 17일 노무현재단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검찰의 발표에 대해 조목조목 반박했다.

김경수 봉하사업본부장도 이날 검찰이 ‘최종본을 이관하는 대신 문건으로 출력해 파쇄했다’는 발표에 대해 “최종본을 완성하면 그대로 보관하는 것이 상식”이라며 “문건을 출력해 파쇄했다는 주장은 근거가 없다”고 반박한 바 있다.

한편, 검찰은 지난 15일 ‘2007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폐기 및 대통령 기록관 미이관 의혹’ 수사 결과에 대해 “회의록 삭제 및 미이관이 모두 노 전 대통령의 지시에 따른 것이며, 백종천 전 청와대 외교안보실장과 조명균 전 청와대 안보정책비서관이 지시를 적극적으로 이행했다”고 결론을 내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