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속도 ‘세계최고’…정부, 고령화 문제 해결 필요
한국의 노인 빈곤율이 OECD(경제협력개발기구)국가 중 부동의 1위를 차지하고 있어, 노인 빈곤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지난 17일 기획재정부 및 OECD는 우리나라 노인 빈곤율은 2008년 45.5%, 2009년 47%, 2010년 47.2% 등으로 상승흐름이 이어지고 있다고 발표했다고 전했다.
이 빈곤율은 상대적 빈곤을 나타내는 지표로, 현재 우리나라는 65세 이상 노인의 빈곤율이 2007년 44.6%에서 2011년 48.6%로 4년 만에 4%포인트나 상승하며 OECD 회원국 중 가장 큰 상승폭을 보이고 있다.
우리 나라의 빈곤율은 OECD 평균인 12.4%(2010년)의 4배 수준이며, 2위인 호주(35.5%)보다 10%포인트 이상 높게 나타난다.
또한 노인 인구 비중이 2000년 당시 7%였으나, 오는 2018년에는 14%가 예상되며, 프랑스가 115년, 미국이 71년인 속도에 비해 세계 최고 수준의 고령화 속도를 보이고 있다.
지은정 한국노인인력개발원 부연구위원은 ‘고령화사회 보편적·균형적 노후설계서비스 활성화방안’ 보고서에서 “우리나라의 사회구조적 특성을 고려하면 노후 준비를 개인 문제로만 치부하기 어렵다”며 “정부가 적극 개입해 양질의 노인 일자리를 만드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