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바닥 근육 부위의 염증 때문에 고통을 겪는 족저근막염 환자들이 최근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1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족저근막염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체 진료인원은 2008년 5만812명에서 2012년 13만8492명으로 8만7680명으로 늘어나 최근 5년간 2.7배 증가했다.
족저근막은 발바닥에 있는 두껍고 강한 섬유띠로 발바닥의 굴곡 모양을 유지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 부분이 반복적인 미세 손상으로 염증이 발생하면 족저근막염에 걸리게 된다.
성별 진료인원을 비교해보면 남성에 비해 여성이 많았다. 2008년에는 1.2배(5372명), 2012년에는 1.4배(2만4334명) 많았다.
증가폭도 여성이 더 컸다. 남성 환자는 2008년 2만2720명에서 2012년 5만7079명으로 연평균 25.9% 증가했고, 여성은 2008년 2만8092명에서 2012년 8만1413명으로 연평균 30.5% 올랐다.
연령별로는 2012년 기준으로 40~50대가 전체의 절반에 가까운 48.7%(23.0%, 25.7%)를 차지했다. 이어 △30대(17.2%) △60대(12.6%) △20대(8.7%) 순이었다.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을 보면 여성은 50대가 657명으로 가장 많고 △60대(499명) △40대(467명) △30대(292명) △70대(272명) △20대(184명) 순으로 뒤를 이었다.
남성은 60대가 335명으로 가장 많고 이어 △30대(290명) △50대(286명) △70대(282명) △20대(177명) 등이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형외과 윤한국 교수는 “여성의 경우 주로 폐경기를 기점으로 호르몬의 변화가 생기면서 발의 지방층이 얇아져 쿠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기 때문에 40~50대 중년 여성에서 족저근막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면서 “최근에는 굽이 높은 하이힐이나 쿠션이 적은 레인부츠를 즐겨 신는 여성이 늘면서 젊은 여성들도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윤 교수는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고 무리한 운동을 피하는 것이 좋은데 충격 흡수가 잘되지 않는 신발을 신고 조깅이나 마라톤 등은 피해야 한다”며 "족저근막염으로 의심되는 증상이 있으면 빠른 시일 내에 정형외과 진료를 통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고 조기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