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모노레일 핵심기술 특허 3건 획득
대구시, 모노레일 핵심기술 특허 3건 획득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사 기일 줄이고 사업비 절감까지…"대구시 위상 높였다"

대구시는 모노레일 핵심 기술인 △신호케이블 절연블럭 △30m PSC궤도빔 제작몰드 △객실 CCTV영상 상호교차 무선전송방식 기술 등을 개발하고 특허를 획득했다.

대구시는 이번 특허 획득을 통해 △공기단축 및 사업비 절감 △고용유발 △로열티 수익 발생 등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호케이블 절연블럭은 2011년 5월 19일 특허청에 특허출원 신청을 통해 2012년 2월 15일 특허를 받았다.

종전에는 모노레일 건설 시 일본산 절연블럭을 사용했다. 일본제품은 단가가 비싸고 시공기간이 장기간 소요된다는 단점이 존재했다. 이에 철도건설본부와 시공사 직원들은 다양한 연구를 거쳐 시공이 간편하고 유지보수가 편리한 시편을 제작, 수차례 시험시공을 거쳐 국산화에 성공했다.

대구시에 따르면 절연블럭의 국산화를 통해 약 118억 원 정도의 예산절감 효과를 거뒀다.

PSC궤도빔 제작몰드는 종전 20~20m에 불과하던 것을 30m로 늘렸다. 대구시를 비롯해 유니슨이테크 등 12개 시공업체들이 해외 전문가의 자문과 수많은 연구를 거듭한 결과 국산화에 성공했다. 2011년 4월 25일 특허 출원해 2012년 12월 10일 특허를 받았다.

2011년 3월 3호선 노선 23.95km에 설치될 30m궤도빔 제작을 시작, 2013. 5월까지 1,316본(직선빔 951본, 곡선빔 365본)을 제작 완료했고, 지난 6월 초 전 구간 궤도빔 설치를 완료했다.

30m PSC 궤도빔 설치로 교각숫자가 크게 감소(25m궤도빔 사용 대비 142개 감축 효과)해 도시경관 개선에 획기적인 기여를 하게 됐다.

객실 CCTV영상 상호교차 무선전송방식기술은 실내 CCTV영상을 무선송수신기에서 상호 교차하는 기술방식으로 실시간 통합관제실로 전송할 수 있어 무인 운전에 따른 객실 내 승객안전 확보의 기틀을 마련했다.

모노레일 특성상 본선 궤도에 무선안테나 설치가 불가능해 전송거리 및 속도 등을 연구한 결과 개발에 성공했으며, 2012년 11월 8일 특허 출원해 올해 7월 19일 (주)파인텔레콤과 공동으로 특허를 받았다.

김범일 대구시장은 “모노레일 핵심기술 특허등록에 따른 수입대체 효과로 사업비 절감, 제품 국산화에 따른 고용유발을 비롯해 원천 기술보유 등으로 대구시의 위상을 높이고 로열티 징수로 인한 재정 수익화를 꾀하게 됐다”며 “3호선 모노레일이 명실상부한 세계 1등 명품 대중교통 수단으로 거듭나 시민들의 안전, 그리고 나아가서는 지역의 핵심 관광인프라가 될 수 있도록 남은 공정과 기술시운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