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갑 “안철수 한 마디로 국회 파행 장기화”
한화갑 “안철수 한 마디로 국회 파행 장기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여야 피나는 투쟁하고 있을 때 제안자 안철수는 창당 수순 밟아”
▲ 한화갑 전 새천년민주당 대표가 여야 정국정상화 합의에 환영의 뜻을 표하면서 정국 대치가 장기화된 배경이 무소속 안철수 의원 때문이라는 시각을 드러냈다.

정치권 원로인 한화갑 전 새천년민주당 대표가 여야 정국 혼란을 가중시킨 핵심 원인으로 무소속 안철수 의원을 지목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한화갑 전 대표는 4일 오전 YTN라디오 <전원책의 출발새아침>과 인터뷰에서 전날 저녁 여야가 정국정상화에 합의한 데 대해 “결과적으로 박수를 보낸다”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하지만, 한 전 대표는 민주당이 요구하고 있는 특검 문제와 관련해 “야당이 주장했지만 결국 도중에 그 문제가 거의 사그라졌었는데, 나중에 안철수 의원이 제안함으로써 다시 민주당이 그걸 받아 대외투쟁의 무기로 삼았다”며 “솔직히 말해 민주당이 포기하다시피 한 것을 들고 나온 것은 결국 전략의 혼돈을 초래했고, 결과적으로 선택과 집중을 해야 하는데 분산됐다”고 꼬집었다.

특히, 한 전 대표는 “특검 문제로 새누리당과 피나는 투쟁을 하고 있을 때 그걸 제안했던 안철수 의원은 자기 정당 창당을 위한 수순을 밟고 있었다”면서 “그렇기 때문에 안철수 의원의 한마디가 결국 민주당을 총동원해서 싸우게 만드는 원동력이 됐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그래서 이 문제는 원래는 민주당의 안이었지만, 안철수 안을 받아서 그걸 관철하려고 애쓰는 전위대역할을 하다가 결국 타협을 미루는 것이 됐다”며 “민주당이 국회를 정상화시키려고 하는 그런 고심을 보여주는 흔적이라고 판단한다”고 풀이했다. 사실상 민주당이 향후 ‘특검’ 도입에 대해 강력하게 요구하지 않을 가능성을 제기한 것으로 풀이된다.

안철수 의원이 제안한 특검을 통해 신야권연대를 구상하고 있는 민주당에 대해서는 “민주당이 꼭 바람직한 것인가 하는 생각을 한다”며 “민주당은 제1야당으로서 차고 나가면서 야당을 이끌어가야지, 작은 당도 아니고 국회의원 한 사람의 비위를 맞추는 듯한 그런 정책을 쓰는 것은 큰 당답지 못하다”고 비판했다.

특검 수용 절대 불가 입장을 밝히고 있는 여권에 대해서는 ‘친박계의 과잉 충성’으로 해석하기도 했다. 한 전 대표는 “만약 여러 기관이 한꺼번에 개입됐다는 것이 확인되면 불리할 것 아니냐는 생각을 하는 것 아닌가 싶다”며 “그러나 오히려 여당이 앞장서서 이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국민들로부터 박수를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 전 대표는 “박근혜 대통령은 이미 선거법에 의한 공소시효도 지났고, 지금 문제된 이런 선거 개입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국민이 다 알고 있다”며 “그렇기 때문에 여당이 먼저 이니셔티브를 취했더라면 국회가 지금까지 이렇게 파행이 오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친박 책임론을 제기하기도 했다.

한 전 대표는 양당 대표의 리더십에 대해서도 한 마디 했다. 이와 관련, ‘여야 지도부가 친박 강경파, 친노 강경파에 끌려다닌다는 얘기가 있다’는 지적에 “맞는 얘기”라며 “처음 만났을 때부터 전권을 가진 대표가 못 됐다. 눈치 보는 대표가 각 당의, 그러다보니 타결이 잘 안됐었다”고 지적했다.

지난 대선에서 박근혜 후보 지지를 선언했던 한화갑 전 대표는 박 대통령 당선 1년 평가와 관련해 “솔직히 개인적으로는 박근혜 대통령이 지금보다 다른 자세로 나와 국정에 임했으면 하는 생각”이라고 아쉬운 평가를 내렸다.

한 전 대표는 “지지도는 50% 이상을 유지하고 있지만, 계속 문제점이 늘어나서 전선이 확대되어 갔다”며 “그래서 이제는 가랑비에 옷 젖는다고, 이렇게 해서 1년도 못됐는데 대통령 물러나라는 얘기까지 나오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 전 대표는 이처럼 지난 1년에 대해 아쉬운 평가를 하면서도 박근혜 대통령을 위한 조언도 아끼지 않았다. 이에 대해 한 전 대표는 “청와대 같은 곳에서 TF팀을 구성해 1년을 자세히 일변해 대책을 세워 일거에 싹 씻고 내년부터는 새로운 기분으로 국정에 임하는 분위기를 국민에게 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이 수석회의에서 무슨 말씀을 하시면 야당이 공격하고 나온다”며 “그러니 앞으로는 내각에서 각 분야별로 발언을 해야 한다. 그래야 대통령이 보호받고 결국 야당이 장관을 공격하는 것이 되는 것이고 여야 간에 서로 공방이 이뤄지는 것”이라고 대안을 제시했다. 책임장관제 필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한 전 대표는 “대통령이 보호받으면서 국정에 전념할 수 있도록 앞으로는 내각이 전면에 나서는 게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민주당 지지도가 바닥권에 머물고 있는 원인에 대해서는 “국민이 원하는 걸 민주당이 안 하니까 그런 것 아니냐”며 “민주당은 민주당의 당리당략을 위한 투쟁을 한 것이지, 국민을 위해 무엇을 해줄까하는 봉사의 투쟁을 한 건 아니다보니 지지도가 줄어든 것 아니냐”고 말했다.

한 전 대표는 “민주당은 국민이 원하는 걸 해주면 되는 것”이라며 “서민을 위하고 중산층을 위한 정당이라면 새누리당보다 앞장서서 ‘이 법을 만들자. 이것이 국민을 위한 길 아니냐’ 이렇게 나섬으로써 새누리당이 끌려가는 형국을 보일 때 민주당의 지지도는 바로 회복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