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이하라 준이치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이 일본의 한국에 대한 과거사 보상에 대해 “최종적으로 해결됐다고 본다”고 밝혔다.
이하라 국장은 지난 3일 일본 도쿄 외무성에서 한국 기자들을 만나 최근 주일 한국대사관 이전 과정에서 발견된 3·1운동, 관동대학살, 강제 징용의 피해자 명부와 관련 ‘1965년 한일협정으로 한일 간 과거사 보상 문제가 해결됐다는 것으로 볼 수 있느냐’는 질문에 이같이 말했다.
이하라 국장은 “청구권이 완전히 해결됐다는 것은 한일관계에서만 그런 것은 아니다. 일본은 미국과 사이에서 샌프란시스코 평화 협정에서 연합국과의 관계를 완전히 해결했고, 한국에 대해서는 전쟁을 한 것은 아니지만 식민지를 지배했기에 별도의 협정을 맺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위안부 문제 등에 대해 “외교 문제로 접근하기보다 역사 사실로 연구자들에게 맡기는 것이 좋다”면서 “과거사 문제를 둘러싸고 일본과 한국이 싸우는 것이 아니라 지금의 관계를 소중히 여겨서 발전시켜야 한다는 생각으로 봤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또한 아베 총리의 역사 인식에 대해서는 “무라야마 담화와 관련해 일본은 아시아의 여러 국가에 아주 큰 고통을 주었다는 인식을 하고 있으며 아베 내각도 역대 내각과 같은 인식”이라며 “고노 담화에 대해서도 위안부 관련자들이 말할 수 없을 정도로 고통스러운 일을 당했고, 그와 관련해 가슴이 아프며 이 역시 역대 총리와 같은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박근혜 대통령이 최근 동북아 공동 역사교과서를 발간하자고 제안한 것과 관련 “교과서를 공동으로 만들 수 있다고 생각은 하지 않지만 한일, 중일, 한중일이 공동으로 연구해서 인식을 좁혀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교과서 발간에 대해서는 우회적으로 반대 입장을 전했다.
한편, 이하라 국장은 이날 중국의 일방적 방공식별구역 선포에 대해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가 중국 것’이라는 전제 하에 이뤄졌다”면서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