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포뮬러 원(이하 F1) 코리아 그랑프리 대회 개최가 무산됐다.
국제자동차연맹(FIA)의 세계모터스포츠평의회(WMSC)는 4일(한국 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갖은 회의에서 내년 F1 코리아 그랑프리를 대회 일정에서 제외시켰다.
WMSC의 발표에 따르면 2014 시즌은 내년 3월 16일 호주에서 시작해 11월 23일 아부다비까지 총 19개 대회가 치러질 예정이다. 원래 계획했던 22개국 가운데 한국, 미국, 멕시코가 빠지게 된 것이다.
한국은 지난 2010년 첫 대회를 개최한 후 당초 계획했던 7년을 치르지 못하고 4년 만에 중단되며 계획에 차질이 생기며 남은 대회도 존폐 기로에 놓이게 되었다.
WMSC의 회의에서 한국이 일정에서 제외된 이유로는 개최권료 협상 등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F1 조직위는 고비용과 적자 등 재정난으로 F1운용사 FOM측에 개최권료 인하를 요구해왔다.
4370만 달러(약 463억원)에서 2000만 달러(약 212억원)으로 줄여달라는 요구를 해왔지만, FOM측은 다른 대회의 형평성 문제로 이 요구를 들어주지 않았다. 현재 F1 코리아 누적적자는 1,910억원로 알려졌다.
한국에서 F1 대회가 열리지 않는다는 소식에 전남 도청의 분위기가 밝아졌다. 일부 직원들은 “티켓 강매를 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
하지만 대회가 무산되고 풀어나가야 할 과제들도 있다. 엄연히 2016년까지 대회를 개최하기로 협약했으므로 이후의 대회들을 포기하게 된다면 국제 소송 가능성도 있다.
또 인프라가 구축된 영암인터내셔널 서킷도 문제다. 적자운영과 대회 무산으로 전남 박준영 도지사와 전남도의회이 책임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F1 조직위는 2015년 4월이나 그해 10월에 복귀하겠다고 밝혔지만, FOM 측과의 재협상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내다보인다.
한편 전남도의회 예산결산위원회는 내년 F1 대회에 대한 개최권료 70억원 등의 예산결의를 보류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