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철도노조 파업 대비 비상수송대책본부 운영
국토부, 철도노조 파업 대비 비상수송대책본부 운영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노조 파업 돌입 시 비상수송체제 전환

국토교통부가 코레일 노조 파업에 대비해 ‘정부합동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가동하기로 했다.

국토부는 5일 철도노조 파업에 유감을 표명하는 한편,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파업은 노조 스스로 밝힌 바와 같이 수서발 KTX 출자회사 설립 반대를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이는 명백한 불법파업이며, 정부는 법과 원칙에 따라 단호하게 대처할 것”이라고 전했다.

국토부는 ‘정부합동 비상수송대책본부’를 6일 오후부터 가동해 9일 노조가 파업에 돌입할 경우 즉시 비상수송체제로 전환해 대책을 시행하기로 했다.

국토부가 마련한 비상수송대책에 따르면 출퇴근 교통 불편이 없도록 통근‧광역열차에 대체 인력을 우선 투입해 평시와 같은 운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원활한 중장거리 여객 수속을 위해 TKX도 정상 운행할 계획이다.

또 새마을‧무궁화 등 일반열차가 평시 대비 60% 수준으로 운행이 줄어들게 됨에 따라 버스 등 대체교통수단을 확보해 지원할 예정이다.

화물열차의 경우 대체인력의 제한 등으로 운행이 상당부분 감소할 수밖에 없어 물품의 특성상 철도를 통해 운송해야 하는 특수·긴급 화물을 우선 처리하고, 화물자동차로의 전환수송에 대해서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만약 파업이 장기화되면 서울지하철 증회 운행, 버스노선연장·증편운행, 택시부제 해제 등을 통해 출퇴근 교통난을 완화시키고, 중장거리 지역간 여객수송은 평시 고속버스와 시외버스의 여유좌석과 예비 편성 투입, 항공기의 여유좌석을 통하여 처리하고, 교통상황에 따라 필요시 추가 증편운행 한다는 계획이다.

국토부는 “수서발 KTX는 민간자본의 참여 없이 철도공사의 자회사에서 운영하기로 했음에도 민영화로 호도하며 파업을 하는 것은 국민불편을 담보로 독점이익을 지키려고 하는 이기적인 행태”라고 비판하는 한편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법에 따라 단호하게 대처할 것이며, 국민불편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거듭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