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선 불복을 공식 발표했던 민주당 장하나 의원이 9일 “당론과는 상이한 개인성명 발표를 송구스럽게 생각하나 나의 정치적인 견해와 주장은 여전히 유효하다”는 뜻을 내비췄다.
장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나의 정치적인 견해와 주장은 여전히 유효하고 이에 대한 책임도 회피하지 않을 것”이라며 “당지도부에 송구스럽게 생각하며 원내부대표직을 자진사퇴할 것을 이미 당지도부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그는 자신의 공식적인 입장에 논란이 일고 있는 것에 대해 “검찰수사결과를 통해 국가기관의 불법적이고 조직적인 선거개입이 밝혀졌고 지난 18대 대선은 부정선거임이 확인된 이상, 박근혜 대통령은 더 이상 정치적인 책임을 외면하지 말라는 최소한의 상식적인 요구”라고 설명했다.
이어 “청와대는 국정원 트위터 글, 국방부 사이버사령부의 트위터 글 등 헌정질서를 파괴한 국기문란 사태에 대해 ‘개인적 일탈’ 혹은 ‘재판 결과 후 입장 표명’으로 정치적 책임을 회피했다”고 말했다.
또한 “새누리당 윤상현 수석부대표는 지난 11월 21일 공소장 변경내용을 검찰발표 보다 먼저 공표하여 검찰 내부와의 커넥션 논란을 일으킨 장본인인데 윤 수석부대표는 ‘대통령 자진사퇴와 보궐선거 실시요구’에 대해 ‘유권자 모독·대통령 폄훼 막장드라마’라는 원색적인 정치선동을 불사했다”고 밝혔다.
이어 “대통령의 명예를 실추시킨 것도 선명한 진상규명 의지를 천명하지 못한 청와대 자신이며, 이를 비호하기에 급급한 새누리당에게도 책임이 있다는 것을 각성하기 바란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나 역시 국정원 개혁 특위에 이어 여야 합의에 의한 특검 도입을 전폭적으로 지지하나 부정선거에 대한 진상규명을 국회가 주도하고 청와대가 여기에 끌려가는 모양새보다는, 박근혜 대통령이 무한책임을 지는 것이 지극히 상식적인 태도이며 이것만이 국회가 산적한 민생 현안에 집중할 수 있게 하는 유일한 길”이라고 강조했다.
끝으로 장 의원은 “새누리당이 나의 정치적 입장을 볼모로 2014년 예산안과 주요 법안심사 등 민생과 직결된 국회 현안을 무시하고 정쟁으로 몰아가려는 구태를 답습한다면 결단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민주당 지도부는 장 의원의 공식적 대선 불복 입장에 대해 “장하나 의원의 개인 생각일 뿐”이라며 “당 소속의원이 당의 입장과 다른 개인적 입장을 공개 표명하는 것에 대해서 유감스럽다”는 반응을 보였다.
민주당 중진 의원인 박지원 전 원내대표도 이날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민주당은 지금 현재 어떤 경우에도 대선 불복이나 박근혜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고 있지 않고 있는데 정당에 소속된, 아무리 혈기 방장한 청년 의원이라 하더라도 조금 더 신중한 발언을 해주는 것이 좋다”고 지적했다.
한편, 새누리당은 장 의원을 윤리위에 제소한다는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
새누리당 최경환 원내대표는 이날 “(민주당은) 김한길 대표의 사과와 함께 장 의원에 대한 출당 조치 또는 제명 조치를 해야 진정성을 인정 받을 것”이라며 민주당을 압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