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부가 교학사 고교 한국사 교과서를 비롯한 7종 교과서에 대해 최종 승인했지만, 오히려 교학사 교과서는 수정명령을 거치며 친일과 독재를 더욱 미화한 것으로 알려져 적지 않은 논란이 일 것으로 보인다.
11일 <한국일보>에 따르면, 온라인에 게시된 교육부가 지난 10일 승인한 교학사 교과서를 보면 ‘이승만의 단파방송’을 소개한 사료탐구(293쪽)가 지난 10월 수정권고에서 ‘이승만의 활동에 대한 과도한 해석이라는 지적을 받았으나 인용된 대목만 바뀐 채 여전히 게재돼있다.
또한 친일 행적을 간과해 논란이 된 김성수에 대해서 오히려 업적을 추가 기술했으며, 5ㆍ16 군사쿠데타의 불가피성을 설명하거나 인민혁명당재건위원회 사건을 축소한 기술 등은 학계에서 '독재를 정당화한 대목'이라며 비판했으나 교육부는 애초부터 이를 수정권고나 명령에 포함하지 않았다고 한국일보는 전했다.
이에 대해 정치 및 시민사회학계는 비난을 쏟아내고 있다.
지난 10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민주당 의원들은 국회 브리핑에서 “교육부가 교학사교과서를 고교 교과서로 채택시키기 위해 ‘꼼수’를 부렸다”며 “우리 아이들에게 친일과 독재로 점철된 교과서를 배우게 한 박근혜 정부의 책임을 역사와 국민이 심판할 것”이라고 비난했다.
광주교육희망네트워크 등 시민사회단체는 교학사 교과서의 불채택 운동을 벌여나간다는 방침이다.
광주시교육청은 역사 교사 연수를 통해 교학사 교과서의 역사 왜곡 및 부실 등을 지적하고 이에 공감했으며, 광주지역 학생들도 학생의회에서 교학서 교과서 반대 결의문을 채택하기도 했다.
그러나 서남수 장관은 “수정권고와 명령 과정을 거치면서 사실과 다르게 기술되거나 편향된 서술이라는 비판을 받았던 내용이 많이 개선됐다”고 밝혀 교육부와 시민사회 간의 충돌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교육부는 한국사 교과서들에 수정 최종 승인을 냈지만, 금성출판사ㆍ두산동아ㆍ미래엔ㆍ비상교육ㆍ지학사ㆍ천재교육의 교과서들은 이와 별도로 집필진들이 수정명령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과 수정명령 취소소송을 제기한 상태여서 법적 다툼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