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학사 “위안부, 일본군 따라다녀” 서술, 수정 안됐다
교학사 “위안부, 일본군 따라다녀” 서술, 수정 안됐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위안부 징용 강제성 왜곡 여전해
▲ 교학사 고교 한국사 교과서 249쪽 ‘현지 위안부와 달리 조선인 위안부는 전선의 변경으로 일본군 부대가 이동할 때마다 따라다니는 경우가 많았다’라는 문구 중 위안부 징용의 강제성을 왜곡했다고 지적된 부분이 아직도 수정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뉴시스

친일 및 독재 미화 논란이 일고 있는 교학사 고교 한국사 교과서 수정 최종본에 위안부 축소·왜곡 서술이 그대로 실려 있는 것으로 알려져 적지 않은 파장이 일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 소속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태년 의원이 11일 교육부가 공개한 교학사 교과서 수정 최종본을 분석해 공개한 자료에 의하면 249쪽 우측 상단의 위안부에 대한 문구가 수정되지 않은 것을 볼 수 있다.

수정 전 ‘현지 위안부와 달리 조선인 위안부는 전선의 변경으로 일본군 부대가 이동할 때마다 따라다니는 경우가 많았다’인데 이 문구 중 ‘따라다니는’ 이라고 기술된 부분은 위안부 징용의 강제성을 왜곡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그러나 교학사는 이 문구를 ‘조선인 위안부’를 ‘한국인 위안부’로만 수정했을 뿐, 지적받은 부분은 수정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틀린 시기 등으로 논란이 된 '1944년 여자 정신 근로령 발표' 부분과 '일부 여성들은'이라는 표현을 삭제만 하고 위안부가 어떤 성격의 것인지, 언제부터 강제로 끌려갔는지에 대한 설명은 담기지 않았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위안부가 강제로 끌려 다녔다는 점을 계속 지적했는데 황당한 수정안이 나왔다”며 “위안부에 대한 서술이 일본교과서에도 못 미치는 수준으로 위안부가 무엇인지 조차 알 수가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엉뚱한 곳을 고친 교학사도 문제지만 이런 기망행위를 용인해준 교육부도 문제”라며 문제를 제기했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 10일 교학사 고교 한국사 교과서를 비롯한 7종 교과서에 대해 최종 승인을 내렸다. 그러나 교학사는 친일 및 독재를 더욱 미화한 것으로 나타나 학계, 정치, 시민사회계의 비난을 한 몸에 받고 있다.

일부 시민단체는 교학사 교과서의 불채택 운동을 벌여나간다는 방침을 밝혔으며. 야당 의원들도 한 목소리로 “교학사 교과서 채택을 중단 하라”고 외치고 있다.

한편, 금성출판사ㆍ두산동아ㆍ미래엔ㆍ비상교육ㆍ지학사ㆍ천재교육의 교과서 집필진들은 교육부의 최종 승인과는 별도로 수정명령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과 수정명령 취소소송을 제기한 상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