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스마트 기기(스마트폰, 태블릿 PC, PC등) 시장 성장세가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17일 정보기술 조사업체 IDC에 따르면 국내 스마트 기기를 포함한 ‘스마트 커넥티드 디바이스’ 시장은 출하량과 매출액 기준으로 각각 전년대비 줄어들 전망이다.
올해 이 시장은 출하량 기준 2830만대, 매출액 기준 21조8495억원으로 전년보다 각각 5%, 7.9%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한국IDC는 글로벌 시장의 경우 출하량이 같은 기간 약 26.8% 성장하며 꾸준한 증가세를 유지한 반면 국내 시장은 올해 마이너스 성장이 예상되고 있다. IDC는 지난 2009년부터 급속하게 성장한 국내 스마트폰 시장이 지난해부터 포화상태에 다다랐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올해 스마트폰 출하량은 지난해 대비 3.2% 감소한 2204만대로, 매출액은 17조1403억원을 기록해 지난해 대비 약 7.1%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PC의 경우 지난해 대비 11.3% 줄어든 511만대, 매출액도 9.7%나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태블릿PC 역시 올해 115만대의 출하량을 기록해 지난해보다 8.2%줄어들고, 매출액도 6509억원을 기록해 16.3% 하락할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글로벌 시장의 경우 PC부문만 10.1% 감소할 뿐, 스마트폰과 태블릿PC는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수요가 증가해 39.3%, 53.5%씩 각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IDC 책임연구원 김태진 연구원은 “국내 스마트 커넥티드 디바이스 시장이 고도로 발달된 통신 네트워크 인프라와 신기술, 신제품 채택에 적극적인 얼리어댑터 성격이 짙은 소비자 특성을 고려해 보면 글로벌 시장 전개 방향에 대한 이정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또 “PC와 태블릿은 스마트폰으로 구축된 모바일 환경에 대응하면서 고유의 사용자경험을 제공하며 정체성 확립을 시도하게 될 것”이라며 “2014년 시장도 하락 추세가 지속되며 2739만대를 기록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