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친일 및 독재 역사를 미화해 논란을 빚은 교학사 고교 한국사 교과서가 이번에는 대한민국 정부의 뿌리인 임시정부의 역사에 대해 잘못 기술한 것으로 드러나 역사 왜곡 논란을 끊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18일 <한겨례>는 민족문제연구소가 교육부가 최종 승인한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를 인용해 근현대사 관련 단원에서만 모두 400여건에 이르는 오류와 왜곡을 찾아냈다고 밝혔다.
교학사 교과서는 임시정부를 ‘이승만의 역사’로 기술하나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어 293쪽 “임시정부 승인 획득 운동의 주역은 이승만이었다”고 서술한 부분은 사실과 다르다. 주역은 김구를 비롯한 조소앙·김규식·박찬익 등 충칭 임시정부의 요인들이었다.
또한 같은 페이지에 기술된 “1943년의 카이로 선언… 등은 (이승만의) 성과라고 할 수 있다”도 틀린 내용이다. 카이로선언을 채택하는 과정에서 한국의 즉각 독립을 주장한 것은 중국의 장제스였고, 이에 영향을 미친 인사들은 임시정부 요인들인 김구·김규식·조소앙 등이었다.
교학사 교과서는 1932년부터 7~8년간 중국을 떠돌아다니며 힘겹게 독립운동을 한 ‘장정’에 대한 내용은 물론 한국광복군 창설과 관련한 내용도 빠뜨렸으며, 임지정부의 역사가 1945년이 아니라 1920년대 중반까지 이어진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로써 사회 각계의 교학사 교과서에 대한 승인 철회 목소리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한편, 교육부는 최종승인을 발표한 고교 한국사 교과서 8종에 ‘오류를 바로잡을 기회를 준다’는 명목으로 또 다시 자체 수정안을 내라고 해 논란이 일고 있다.
교육부는 8종 최종 승인 결과를 발표하며 출판사들에 ‘내용변경을 가져오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표기ㆍ표현(윤문 맞춤법 문장부호 첨삭) 등 단순 수정 사항에 대해 오는 23~24일까지 수정안을 제출하라’는 공문을 발송했다.
이는 최종 승인된 교과서를 또 다시 심의하는 셈이어서 교육부 수정심의에 대한 권위를 스스로 떨어뜨리게 될 뿐 아니라, 교학사 교고서의 오류 수정을 위한 것이 아니냐는 추측도 나오고 있어 교학사 고교 한국사 교과서를 둘러싼 역사 왜곡 및 형평성 논란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