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박진 의원은 최근 한 라디오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해야 할 일이 많은 서울시장 후보로 나서는 사람이라면 미리 시정에 대한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면서 “국민적 지지도가 높다고 등 떼밀려 나오는 것은 서울 시민을 위해서도 바람직하지 않다”는 취지의 발언을 하고 나섰다.
이는 박 의원측에서 가장 꺼리는 ‘파트너’ 역시 강 전 장관임을 드러내는 대목이다. 법무부장관 재직시절 대과없이 검찰 조직을 이끌어왔고 나중에 깨끗하게 물러나는 모습을 보여준 점과, 그리고 현 정부에서 장관직을 수행했으면서도 비교적 열린우리당 색채가 엷다는 점 등이 박 의원측에서 꼽은 강 전 장관의 강점이었다.
검증되지 않은 신비감은 오히려 약점으로 작용할 수도 있지만 동시에 순간적인 폭발력도 지니고 있을 것으로 볼 수 있다. 한 주간지에 따르면 박 의원 측근은 “이해찬 총리나 김한길, 김영춘 의원 등 정치인 후보가 나오면 선거는 정치인 대결구도로 갈 수 밖에 없고 그렇다면 한나라당의 백전백승”이라면서 “강 전 장관 등 비정치인 후보가 나올 경우 우리가 비교우위를 점하고 있는 정책으로 대결한다는 복안”이라고 말했다. 한편 박계동 의원도 열린우리당의 후보들 가운데 경쟁력을 갖춘 인물로 강 전 장관을 꼽았다.
박 의원은 “지방선거라는 것이 어차피 대통령에 대한 중간평가의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현재의 지지도나 인지도는 큰 의미가 없다”라면서도 “그래도 강 전 장관의 색깔이 열린우리당 후보 가운데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본다”라고 말했다.
맹형규 의원 측은 강 전 장관의 출마가능성은 희박하다고 전했다. 다만 우리당의 선택은 ‘CEO형 후보’가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정치인 대 정치인’구도로는 승산이 없으니 ‘CEO 출신 대 정치인’ 구도로 몰아가려 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 주관지에 따르면 맹 의원측 관계자는 “성공한 것으로 평가되는 이명박 시장의 후광과 서울시민의 요구를 겨냥해 유한킴벌리의 문국현 회장이나 현대 출신의 이계안 의원, 진대제 정통부장관 등의 출마를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라고 했다고 한다.
맹 의원은 “아직 열린우리당에서 후보로 나서겠다는 사람이 없는 상황이어서 누구를 더 경계한다고는 말할 수 없다”라며 특별한 언급은 자제하려 했다고 한다. 홍준표 의원은 한나라당 의원중 유일하게 강 전 장관이 나오면 자신있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홍 의원은 “강 전 장관은 무척 영민한 사람이기 때문에 출마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지만 만약 나온다면 나로서는 오히려 환영”이라며 자신감을 나타냈다. 사실 그가 정말로 까다롭게 생각하는 여권의 주자는 바로 이해찬 총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