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벽두부터 개각설 솔솔
새해 벽두부터 개각설 솔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靑 참모 및 고위공직자 인사 불가피, 개각으로 이어지나
▲ 갑오년 새해가 시작되자마자 청와대 일부 참모들과 중앙 부처 고위공직자들에 대한 인사가 불가피하게 됐다. 이 같은 인사 바람이 개각과도 맞물릴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면서 연초 인사태풍이 정국을 강타하고 있다. 사진 / 뉴시스

새해 벽두부터 청와대 참모진을 비롯한 고위공직자들에 대한 인사설이 확산되고 있다. 일부 장관들에 대한 교체설까지 맞물리면서 연초 인사태풍이 부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청와대 김행 대변인이 2013년 마지막 날 사의를 표명한데 이어, 새해 첫날인 1일에는 국무총리실 1급 공무원 10명 전원이 사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직서를 제출한 1급 공무원들은 심오택 국정운영실장, 권태성 정부업무평가실장, 강은봉 규제조정실장, 류충렬 경제조정실장, 조경규 사회조정실장, 김효명 세종특별자치시지원단장, 김희락 정무실장, 이태용 민정실장, 신중돈 공보실장, 박종성 조세심판원장 등 10명이다.

이들은 정부 출범 2년 차를 맞아 국정운영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고 인사권 재량의 폭을 넓혀주기 위한 차원에서 일괄 사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들의 집단 사표 제출에 박근혜 대통령과 정홍원 국무총리 간 사전 교감이 있었다는 얘기가 있어 사실상 문책성 물갈이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연말 철도노조 파업 사태 등을 겪고 있을 때 사회 갈등을 조정해야 할 본연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다는 이유 때문이다.

총리실 고위 공직자들을 바탕으로 불기 시작한 인사 바람은 다른 중앙 부처로 확산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아울러, 이 같은 바람과 맞물려 박근혜정부 집권 2년차 국정운영에 고삐를 죄기 위해 일부 국무위원에 대한 물갈이도 이뤄질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청와대 관계자는 “개각에 대해서는 현재로서는 전혀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 다만 청와대 비서진의 경우 대변인이 공석이며, 앞서 이혜진 전 법무비서관과 정영순 전 여성가족비서관 등도 사퇴한 바 있어 인사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법무비서관과 여성가족비서관은 이미 인선작업이 마무리 단계에 들어가 있다고 한다. 이와 함께 청와대 행정관급도 10여명가량 교체할 것이라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청와대 비서진 인사 시기는 이달 중순 또는 설 연휴 직후가 될 것이라는 관측에 힘이 실리고 있다. 집권 2년차를 맞이한 박근혜 대통령이 6.4지방선거 등 굵직한 정치 일정을 앞두고 대대적인 여권 인적 쇄신에 나설 것인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