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박근혜 대통령이 신년구상 기자회견에서 밝힌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을 “한국개발연구원(KDI), 국민경제자문회의 등 광범위한 의견수렴을 거쳐 2월말까지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현 부총리는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기초가 튼튼한 경제, 역동적인 혁신경제, 내수·수출 균형경제’의 3대 추진전략을 중심으로 기본방향을 마련하겠다”며 이 같이 말했다.
이어 그는 “이를 통해 잠재성장률 4%, 1인당 국민소득 3만불을 넘어 4만불 달성을 위한 기반을 앞당기고, 고용률 70% 달성과 청년·여성 일자리 확대를 이뤄내겠다”고 덧붙였다. 이는 전날 박 대통령이 전망한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의 실현결과이기도 하다.
그러면서 현 부총리는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중심으로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을 속도감 있게 실행하고, 경제정책을 추진하는 방법도 ‘실현·현장·소통’ 중심으로 바꿔 국민들이 성과를 피부로 실감할 수 있도록 집행과 점검을 강화하겠다”고 의지를 다졌다.
이날 회의에서는 2014년 상반기 예산집행 계획도 논의됐다. 현 부총리는 “올해 경기는 작년 4분기 이후 회복세를 이어가며 연중 고른 성장의 흐름이 예상되는 만큼 작년보다 다소 완화된 상반기 55% 집행을 목표로 설정했다”고 전했다.
다만 “미국 양적완화 축소 등 대외리스크를 고려해 연초부터 예산집행을 차질없이 이행해 3월말까지 28% 이상이 집행되도록 하고 일자리·SOC·서민생활 안정 등 중점관리 분야는 58%를 상반기 중 집행하겠다”고 설명했다.
현 부총리는 올해 산업동향 및 대응방향에 대해서도 밝혔다.
그는 “반도체·가전 등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는 산업은 핵심기술을 개발해 시장을 선점하도록 지원하고 석유화학 업종은 동북아 오일허브사업 등을 활용해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또 “시장회복이 기대되는 조선·해양플랜트 산업에는 선박금융 지원을 확대하고, 공급과잉으로 어려움을 겪는 기계·철강 산업은 신시장을 개척하고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