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전의 안전 불감증과 전기대란 문제는 이제 국민들에게 신물이 날 정도이다.
한전은 잊을만하면 한 번씩 발생하는 대형 교통사고보다 그 사고건수가 더 많이 발생하는 곳이다. 그러나 그들은 이런 사고에 전혀 반응이 없다. 이유는 책임 짓는 주인이 없기 때문이다.
박근혜 정부에서 “공공기관 책임자들은 개혁을 할 수 없으면 떠나라”고 주장하는 이유가 이해되는 부분이다. 한전의 빈번한 사고에 대해 발전소문제와 관련된 시민단체의 J씨는 “공공기관 개혁의 첫 번째 대상은 한전이 되어야 한다“ 고 주장하고 있다.
안전 불감증의 대명사처럼 느껴지는 한전에 산하 강원 영월군 컨소시엄이 지난해 말 완공해 최근 본격 가동을 시작한 영월태양광발전소 일대의 지반침하가 심각하게 진행되는 등 부실시공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동양 최대 규모로 건설된 영월태양광발전소는 2013년 12월 27일 준공식 대신 '영월 태양광발전소 개방의 날' 행사를 지역 기관장들과 주민들을 초청하여 진행하였다.
영월태양광발전소는 영월군 남면 연당리와 창원리 일대 97만4232㎡터(약 29만4700평)에 설비용량 40MW급으로 영월에너지스테이션 주도로 지난해 말 완공됐으며 연초부터 본격 적으로 전기 생산에 들어갔다.
발전소는 발전설비 시설이 워낙 광범위하여 1공구, 2공구, 3공구 등 총 3개 지구로 나눠 설치되었으며 야산을 절개하여 발전소 부지를 조성했고 계곡을 메워 부족한 부지를 확보했다.
그러나 발전소 건설 사업에 참여한 시공업체 관계자에 따르면 지반조성 과정에서 사면에 대한 다지기 작업이 제대로 진행되지 못하여 법면 곳곳의 지반침하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지난해 3월초 착공된 영월태양광발전소 부지조성사업은 태양열 수집시설인 묘둘 설치 등 전체 공정이 당초 지난해 9월까지 완공예정이었으나 토목공사가 늦어지면서 전체 공정이 잇따라 지체되는 바람에 완공시기를 지난해 12월 말까지 2차 연기를 했다.
연말 준공이 늦춰지면 발주처는 하루에 5000만원의 페널티를 물어야 했다.
이처럼 전체 공정이 너무 촉박하게 되자 사면 정리작업과 법면 다지기작업은 제대로 이뤄지기 힘들었고 지난해 여름장마 이후 법면이 침하되면서 구조물도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이 현장공사에 참여했던 관리자의 진술이다.
영월태양광발전소 3공구 E존의 경우 묘듈의 지주역할을 하는 강철빔을 단단하게 고정해야 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이 보통 10cm이상 최고 20cm까지 침하된 현장이 곳곳에서 목격됐다.
이에 따라 보통 20년에서 25년의 수명을 가진 태양광발전소로 알려졌지만 영월태양광발전소는 지반침하로 인해 심각한 상황을 맞아 수명 단축은 물론 전력생산 차질도 우려되고 있다.
시공에 참여했던 관계자에 따르면 "경사면의 경우 지반이 부실하기 때문에 다지기를 장기간 해야 했는데 영월태양광발전소 부지는 워낙 촉박한 공사기간 때문에 그러지 못했다"며 "이런 지반침하는 곳곳에서 심각한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