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6일 아이돌그룹 슈퍼주니어 리더 이특의 아버지와 조부모가 숨진 채 발견돼 사회적 충격이 일고 있는 가운데, 정치권에서도 이번 사건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이특의 조부모가 치매를 앓고 있었고, 이 같은 이유가 존속 살인 및 자살의 배경이 된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민주당 전병헌 원내대표는 9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고위정책-정치개혁특위 연석회의’에서 “인기가수 가족이 치매 때문에 비극을 맞았다”며 “문제는 이런 비극이 이 가족만의 일이 아니라 우리 모두가 맞닥뜨릴 수 있다는 데 있다”고 운을 뗐다.
전 원내대표는 그러면서 “지금도 치매 병수발의 무게와 고통 때문에 천륜을 끊는 끔찍하고 불행한 뉴스가 낯설지 않은데, 앞으로 더 큰 문제라고 보여 진다”며 “현재 치매환자는 54만 명 정도라고 하는데, 고령화로 인해 2030년에는 127만 명에 달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제 치매환자는 가족이 아니라 국가가 책임지고 돌봐야 할 때”라며 “치매 판정기준을 낮춰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적용을 받는 환자를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 원내대표는 또, “현재 7곳밖에 없는 치매전문병원도 늘려야 할 것이며 노인들에 대한 치매예방과 치료도 보다 적극적으로 공공기관이 나서야 할 것”이라며 “2월 국회에서 치매환자와 가족을 위한 치매관리법 개정을 포함해 치매환자와 가족의 고통을 덜기 위한 대책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밝혔다.
전날 김한길 대표도 최고위원회의에서 “가수 이특 씨의 가족이 치매치료의 한계 앞에서 동반자살을 택했다는 소식이 온 국민들을 가슴 아프게 하고 있다”며 “치매환자 문제는 개인 차원이 아닌 국가적 문제”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모든 국민이 최소한의 인간적인 삶과 죽음을 누릴 수 있도록 국가가 책임지는 것이 복지의 기본”이라며 “치매환자에 대한 정책 마련에 정책위에서 적극적으로 임해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