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먹거리 찾아 석유 유관 업종으로…

SK·GS칼텍스·현대오일 등 국내 정유사들이 신규 먹거리를 찾아 석유 유관 업종으로 다각화 전략에 나서고 있다.
13일 정유업계에 따르면 이른바 ‘범위의 경제(the economy of scope)’를 추구하면서 메이저 정유사들이 석유화학 업종으로 진출을 서두르고 있다.
이 같은 움직임을 반영, 최근 몇 년 사이 정유사들은 경질나프타 제조 등 대규모 석유화학 플랜트 신규 투자에 나서고 있다.
SK인천석유화학은 파라자일렌(PX) 공장 증설 1조6000억원, SK이노베이션 자회사인 SK종합화학과 일본 JX에너지 합작으로 건설되는 울산 PX 공장은 9600억원 규모의 프로젝트를 속속 진행하고 있다.
이 가운데 SK인천석유화학 공장 증설은 인천 서구청이 공사 중단을 통보할 것이라고 발표해 논란의 소지를 안고 있지만 몇 가지 보완 조치를 이행하면 완공에는 문제없다는 게 SK 측 주장이다.
계획한 대로 올 하반기 130만t 규모 PX 공장 증설이 완료되면 SK인천석유화학은 매출액 구조상 정유사가 아닌 `화학 회사`로 바뀐다.
GS칼텍스는 일본 쇼와셸, 다이요오일과 함께 여수공장에 1조원 규모 PX 생산설비를 짓는다. GS칼텍스는 당분간 화학 쪽에 투자를 집중할 것으로 업계 관계자들은 내다보고 있다.
현대오일뱅크는 1조원 규모의 투자를 통해 지난해 나프타분해시설(NCC) 용량 기준 국내 최대 화학 업체인 롯데케미칼과 손잡고 혼합자일렌과 경질나프타 제조 사업에 뛰어들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