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한국사 교과서 8종 최종 수정 완료… 인쇄 돌입
교육부, 한국사 교과서 8종 최종 수정 완료… 인쇄 돌입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총 937건 중 교학사 751건으로 가장 많아
▲ 최근 ‘역사 왜곡’ 논란이 된 교학사 교과서를 포함한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8종 출판사가 자체 수정을 요청한 937건에 대해 교육부가 최종 승인 결정을 내렸다. 이에 따라 각 출판사는 최종 수정본으로 인쇄 작업에 돌입한다.

최근 ‘역사 왜곡’ 논란이 된 교학사 교과서를 포함한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8종 출판사가 자체 수정을 요청한 937건에 대해 교육부가 최종 승인 결정을 내렸다.

이에 따라 각 출판사는 최종 수정본으로 인쇄 작업에 돌입한다.

교육부는 13일 “교학사를 포함한 8종 교과 출판사의 자체 수정 승인 요청이 있어 수정심의회를 거쳐 지난 5일 총 937건에 대해 최종 승인했다”고 밝혔다.

앞선 12월 초 교육부는 이미 8종 교과서 수정안에 대한 최종 승인을 내린 바 있지만 며칠 뒤 몇몇 교과서에서 맞춤법이나 띄어쓰기 등 단순 표기상 오류가 다수 발견됐다는 지적에 따라 지난 달 22~23일 양일에 걸쳐 자체 수정안을 접수 받았다.

그러나 당초 수정 계획과 달리 각 출판사는 교육부 승인 후 단순 표기법 오류만이 아닌 일본군 위안부, 남‧북전쟁 등 상세 내용까지 수정한 것으로 밝혀졌다.

역사 왜곡 논란의 중점이 됐던 ‘조선군 위안부가 일본군을 따라다니는 경우가 많았다’ 라는 부분에 대해서는 ‘강제로 끌려 다니는 경우가 많았다’ 로 수정되고, 일제의 쌀 유탈에 대해 ‘쌀 수출’ 이라고 표현한 부분은 ‘쌀 반출’로, 일본 자본의 ‘진출’로 기술한 부분은 ‘침투’로 수정했다.

또 UN이 대한민국을 '38도선 이남에서만 유일한 합법정부로 승인' 기술 부분을 '한반도 전체의 유일한 합법 정부 승인' 으로 바꾸는 등 교학사가 총 751건으로 가장 많았고, 금성출판사가 86건으로 그 뒤를 이었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그간 진행된 수정‧보완 작업을 통해서 띄어쓰기와 맞춤법 등 단순한 표기 오류뿐만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정체성과 6‧25전쟁, 일제강점기 미화 및 북한문제 등 민감한 부분의 서술 내용을 구체적으로 수정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를 통해 미래세대인 우리 학생들의 올바른 역사인식 형성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면서 "향후 교육부는 이번 수정 과정에서 제기된 다양한 의견들을 반영해 한국사 교육을 더욱 내실화 할 수 있는 방안들을 지속적으로 검토·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울나라 2014-01-13 17:28:49
제대로 된 역사 인식을 심어줘야 하는게 어른들이 해야 할일인 것 같다.이번 기회에 왜고된 교과서 내용 싹 다 고쳤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