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자의 19 그리고 80' 삶의 가치와 사랑 그린
세상의 통념을 넘어선 진정한 사랑을 확인할 수 있는 작품, '박정자의 19 그리고 80'
19세 소년과 80세 할머니가 남자와 여자로 진정한 사랑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 이 작품의 원작 제목은 해롤드와 모드로 시나리오 작가로 유명한 콜린 히긴즈의 작품이다.
1980년 시즌에 브로드웨이에 처음 선을 보였고, 이내 프랑스와 독일을 거쳐 전 유럽을 강타했다. 그러나 초연부터 성공을 예감한 작품은 아니었다. 뉴욕 타임즈에서는 콜린 히긴즈라는 이름을 기억조차 하고 싶지 않다는 혹평을 하기도 했고 관객들의 반응도 신통치 않았다.
그러나 작가 콜린 히긴즈는 작품을 새롭게 각색하여 프랑스에서 재공연을 하게 되었고, 그것이 대히트를 하게 되면서 이 낯선 커플의 러브스토리에 전 세계가 중독되기 시작하였다.
한국에서는 수식어가 감히 어울리지 않는 여배우 박정자와 굴렁쇠 소년으로 알려진 윤태웅군이 주연을 맡았다. 세상에서 한번도 본적이 없는 여리고 순수한 모습을 리얼하게 표현할 박정자의 연기는 그동안 ‘엄마는 오십에 바다를 발견했다’ ‘우당탕탕, 할머니의 방’ 등에서 보여준 것과 또다른 감춰진 모습을 선보일 예정이다. 그에 반해 윤태웅군은 이번 연극을 통해 연예계에 데뷔하는 신인으로 배우 윤태웅으로 당당히 서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해왔다고 전한다.
이작품은 감동을 지닌 드라마로 현실에서 소외된 채 우울증을 겪는 한 소년이 여든 살 된 아름다운 할머니를 만나면서 삶의 가치와 진정한 사랑을 깨닫고 성숙한 인간으로 거듭나는 과정을 그린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월광소나타 오프닝 음악에 이어 주인공 해롤드가 목을 맨 채 늘어져있는 충격적인 장면이 연극에 시작이다. 그러나 다만 정신과 의사가 다녀갈 뿐 해롤드의 어머니는 익숙한 듯이 아들의 자살소동에 크게 개의치 않는다.
우울증에 시달리는 해롤드는 엉뚱하면서도 매력적인 할머니, 모드를 장례식장에서 만나 깜짝 놀랄만한 일들을 겪게 된다.
모드는 해롤드에게 지금껏 해롤드가 경험해보지 못했던 일들을 경험하게 해주고 산다는 게 행복하고 아름다운 일이라는 것, 그러나 세상 일에 집착할 필요는 없다는 점을 일깨워준다.
해롤드는 점점 모드에게 동화되기 시작하고, 61세의 나이차를 극복하고 19세 소년과 여든의 할머니는 차츰 서로에게 중요한 존재가 되어가며 흥미진지함과 유쾌함을 이어가지만 마지막 반전이 가슴을 저민다.
그 무시무시한 반전을 직접 무대에서 확인해보시길.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