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연내 정상화 어려울듯
국회 연내 정상화 어려울듯
  • 김부삼
  • 승인 2005.12.29 15: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계진 "집나간 아내, 남편버릇 고치기전엔 못돌아가"
개정 사립학교법을 둘러싼 여야간 대치가 더욱 심화됨에 따라 연 내 국회 정상화 가능성이 극히 불투명해지고 있다. 한나라당은 29일 사학법 공포 이후 2단계 투쟁에 돌입, 사학법 무효화 또는 2월 임시국회 재논의 등 무효화에 상응하는 정부·여당의 조치가 나올 때까지 국회 등원을 거부키로 했다. 특히 한나라당은 투쟁이 장기화할 경우 당 사학법 무효화 투쟁본부를 종교·사학단체와 연계한 ‘반 노무현 정권 투쟁기구’로 확대, 장외투쟁을 강화하는 방안을 검토키로 했다. 또 내년 1월10일쯤 수도권에서 대규모 집회를 강행하는 등 장외투쟁을 이어가고, 2월까지 중소도시를 순회하는 시국강연 개최 방안도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박근혜 대표는"지금 들어가는 것은 완전히 항복하는 것이며, 날치기 처리를 인정하는 것이 된다"면서 "어떤 고난이 오더라 도 힘을 합해서 노력하면 역사에 옳은 평가를 받을 것"이라고 투쟁을 독려했다. 이계진 대변인도 한나라당의 국회 등원 거부 입장을 가정 폭력 때문에 집 나온 아내의 심정에 빗대 눈길을 끌었다. 이 대변인은 국회 기자실에서 브리핑에 앞서, "이야기 하나 하겠다"고 말문을 연 뒤 "한 가정에서 내외가 잘 의기투합해서 아이들을 잘 먹여 살리고, 이끌어가야 하는데 남편이 너무 주벽과 폭력이 심해서 아내가 도저히 견딜 수 없어서 집을 나갔다"고 한나라당을 가출한 아내에 비유했다. ‘남편’은 물론 현 정권과 여당을 빗댄 것이다. 그는 "집에 두고온 아이들이 있어서 마음에 걸린다. 남편이 돌아오라고 하는데 여기에서 또 다시 집으로 돌아가면 남편의 버릇을 고칠 수 없고, 평생 불행한 삶을 살 것 같아서 눈을 감고 이산가족 찾기를 할 때나 (아이들과)만나기로 했다"고 말했다. 지금 상황에서는 국회로 돌아갈 뜻이 없음을 분명히 한 것이다. 이에 대해 열린우리당은 예산안, 이라크 파병연장 동의안, 8·31 부동산대책 후속법안 연내 처리를 거듭 다짐했다. 정세균 의장 겸 원내대표는 의원총회에서 "한나라당은 더 이상 국민을 선동하지 말고 이제는 국회로 들어와 예산안 심사, 파병안 등 산적한 민생법안을 협의해야 한다"고 등원을 거듭 촉구했다. 정 의장은 "한나라당은 색깔론과 허위사실 유포, 흑색 선전선동을 즉각 중단하고, 더 이상 국민을 속이는 행위를 중단할 것을 강력히 요 구한다"고 비난했다. 한편 이날 오후 열릴 예정이었던 국회 본회의는 의결 정족수 부족으로 자동 유회 됐다. 하지만 열린우리당은 늦어도 오는 30일 본회의에서는 민주, 민주노동당, 국민중심당 등의 협조를 받아 예산안 등을 반드시 처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