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소년 부양비는 40년동안 4분의 1수준으로 줄어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부양해야 할 노인의 수가 100명 당 17.3명으로 추산됐다.
1일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생산가능인구 100명이 부양해야 할 고령인구(65세 이상)의 수가 17.3명으로 나타났다.
이즌 40년 전인 1974년 5.7명 보다 크게 늘어난 수치다. 즉, 지난 40년 간 생산가능인구가 부양해야 할 노인의 수가 3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1970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노년 부양비는 2000년에 첫 10명대를 돌파한 이후 2010년에 15명 대를 넘기는 등 빠른 속도로 높아지고 있다.
반면, 생산가능인구 100명 당 유소년 수(유소년 부양비)는 오히려 줄어들고 있다. 통계청이 추산한 올해 유소년 부양비는 19.5%로, 1974년의 4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한편 지난달 27일 기획재정부는 오는 2017년 우리나라가 고령사회, 2026년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OECD는 노인비중이 전체 인구의 7%를 넘으면 고령사회로 규정하고 있다. 고령화비율이 20%를 넘으면 초고령사회로 규정한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