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기업정서 높은 가운데 기업호감도 개선 기미
반기업정서 높은 가운데 기업호감도 개선 기미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한상의, ‘2013년 하반기 기업호감지수’ 조사 결과 발표
▲ 대한상공회의소 조사 결과 국민의 기업 호감도가 2년 만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익의 사회 환원과 관련된 기업의 사회활동이 늘어나고, 고용창출 및 국민경제 기여 등 영향으로 국민의 기업 호감도가 2년 만에 소폭 상승했다.

하지만 기업 윤리경영의 퇴조 등 탓으로 반기업 정서는 여전히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현대경제연구원과 공동으로 전국 20세 이상 남녀 1000여명을 대상으로 '2013년 하반기 기업호감지수(CFI: Corporate Favorite Index)'를 조사한 결과 이 같은 내용이 분석됐다고 4일 발표했다.

기업호감지수란 국민들이 기업에 대해 호의적으로 느끼는 정도를 지수화한 수치다. 이 수치가 100점에 가까울수록 호감도가 높은 것이고 0점에 가까우면 낮은 것으로 해석한다.

대한상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기업호감지수는 100점 만점에 51.1점으로 집계됐다. 지난 2012년 상반기 50.9점을 기록한 이래 3개 반기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다가 2년만에 상승세로 돌아선 것이다.

지난 상반기 대비 대부분 항목의 점수가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생산성 향상'(61.7점→67.8점)은 6.1점, '국가 경제 기여'(51.2점→54.5점)는 3.3점, '국제경쟁력'(74.8점→76.6점)은 1.8점, '윤리 경영 실천'(23.7점 →25.2점)은 1.5점 각각 상승했다.

대한상의는 "지난해 세계 경기 침체 속에서 기업들의 경쟁력 향상 노력으로 수출과 경상수지 흑자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는 등 성과가 나타나면서 기업호감도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국민들은 기업에 호감이 가는 이유로 '국가경제에 기여'(38.8%)를 가장 많이 선택했고 다음으로 '일자리 창출'(28.7%), '국가 브랜드 향상'(28.0%), '사회공헌 등 사회적 책임 수행'(4.5%)이라는 순으로 꼽았다.

반면 호감이 가지 않는 이유로는 '비윤리적 경영'(38.4%)이 가장 앞섰고, '고용창출 노력 부족'(21.2%), '사회 공헌 등 사회적 책임 소홀'(20.7%), '기업 간 상생협력 부족'(19.2%) 등을 들었다.

한편, 국내 반기업 정서와 관련 '높다'는 의견이 70.2%로 지난 상반기(66.5%)보다 높게 나타나 주목을 끌었다.

이 같은 조사결과에 대해 전수봉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기업호감도가 2년 만에 반등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반기업정서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기업들은 일자리 창출, 사회적 책임 이행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윤리경영실천, 사회공헌활동 등 두 분야의 점수가 보통 이하에 머물고 있으므로 개선 노력과 홍보강화 활동을 해야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