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내 의견 무시하는 이 총리 책임설까지 흘러나와
노무현 대통령이 구상하던 새해 첫 개각 단행에 있어서 가장 먼저 입각이 확실시 되던 열린우리당 유시민 의원이 당 내.외의 거친 반발에 의해 난처한 입장에 처했다. 정계 분위기를 인식한 노 대통령 역시도 2일 4개 부처의 개각을 단행하며, 유 의원의 입각을 잠시 보류하기로 하는가 하면, 열린우리당 내부 의원들마저 노 대통령의 유 의원 '띄우기' 개각 인사에 대한 불만을 감추지 못하고 있는 분위기인 것으로 전했다.
이에 열린우리당은 2일 저녁 당 진·비상집행위원 회의를 열고 유 의원이 보건복지부 차기 장관으로 임명되기를 드러내놓고 보여 오던 이해찬 총리에 대해서도 비난을 감추지 않으며, 책임론을 거론했던 것으로 전했다. 회의에 참석했던 한 중진 의원에 의하면 불과 수개월 앞으로 다가온 지방선거를 어떻게 치르려고 하는지 모르겠다며 회의적인 시각을 보이고는 “이번 상황이 초례된 것은 전적으로 이 총리의 역할이 컸다. 그에 합당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며 총리 책임설에 대한 배경을 설명하기도 했다.
또한 같은 자리에 참석했던 또 다른 중진 의원 역시 비상회의 분위기를 전하며, 이 총리가 당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지 않고 독단적인 행동을 하고 있다는 의견이 다수를 이루었다고 전하기도 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재선 의원들로 이루어진 모임은 유 의원의 입각을 어떻게든 막겠다는 의지를 교환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한 재선 의원의 경우에는 “그동안 다양한 방법으로 청와대에 유 의원의 입각이 초례할 당의 부정적 이미지와, 지방선거에 미칠 악영향에 대해 전달해왔다”고 하며, “만일 청와대가 유 의원의 입각을 단행할 경우에는 당에도 커다란 변화가 일어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하며 의미심장한 말을 붙이기도 했다.
한편, 2일 발표된 4개 부처 차기 입각자들의 명단에 대해서는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던 정동영 전 통일부 장관 역시도 유 의원의 입각에 대해서는 당내 부정적 시각을 지난달 말 노 대통령에게 사의를 표하면서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같은 소식을 접한 김근태 전 보건복지부 장관은 입장의 문제를 고려한 탓인지 “코멘트하지 않겠다”고 하며 유 의원의 문제에 대해서는 거리를 둔 시각을 유지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