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까운 만큼 익숙한 것 같지만 만만치 않은 산
삼악산의 높이는 654m이고, 주봉(主峰)은 용화봉이다. 서울특별시에서 북쪽으로 80km, 춘천시에서 남서쪽으로 10km 떨어진 지점에 있다. 경춘국도의 의암댐 바로 서쪽에 있으며, 북한강으로 흘러드는 강변을 끼고 남쪽으로 검봉산·봉화산이 있다.
주봉이 용화봉과 함께 청운봉(546m)·등선봉(632m) 3개이므로 삼악산이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3개 봉우리에서 뻗어내린 능선이 암봉을 이룬다. 산을 구성하고 있는 주 암석은 규암의 일종으로, 약 5억 7000만 년 전∼25억 년 전에 퇴적된 사암(砂岩)이 높은 온도와 압력을 받아 생성된 변성암이다.
산의 규모가 크거나 웅장하지는 않지만 경관이 수려하고 기암괴석으로 이루어져 있어 많은 등산객이 찾는다. 명소 가운데 등선폭포(登仙瀑布, 또는 경주폭포)는 높이 15m의 제1폭포 외에 제2·3 폭포가 더 있고, 그 외에 등선·비선·승학·백련·주렴폭포 등 크고 작은 폭포가 이어진다.
정상에서는 의암호와 북한강이 내려다보인다. 험준한 산세를 이용한 천혜의 요새로서 능선 여기저기에는 삼국시대 이전 맥국(貊國)의 성터 또는 후삼국의 궁예가 쌓은 것이라고도 전해지는 대궐터의 흔적이 470m 정도 남아 있다. 그 외에 문화재로는 부근에 금선사(金仙寺)·신흥사(新興寺)·흥국사(興國寺)·상원사(上院寺) 등이 있다.
정상까지는 넉넉잡아 4 시간 30 분 정도가 소요된다. 그러나 산세가 의외로 험한 편이라 조심 하지 않으면 쉽게 지칠 수 있다.
찾아가는 길
시내버스 : 강촌역 - 삼악산 등선폭포(5분 소요, 20분 간격운행) 강촌교를 지나 강변도로까지 도보로 40분 소요
열차 : 청량리 - 성북 - 강촌(도보로 35분 소요)
자가교통 : 서울 46번 국도⇒ 청평 ⇒ 가평 ⇒ 강촌 검문소 ⇒ 등선 폭포 입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