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6000억원이 넘는 대규모 적자 공시에 주목

금융당국은 대우건설이 지난해 6000억원이 넘는 대규모 적자가 났다고 최근 공시한 점에 주목하고 이 회사의 분식회계 여부에 대한 감리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대우건설의 분식회계에 대한 감리 인력을 두 배로 늘려 가능한 한 빠른 기간 내에 대우건설의 분식회계 여부를 판별해 내기로 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14일 한 언론과의 전화통화에서 "일주일 전부터 감리 인원을 두 배로 늘렸다"며 "사업장도 많고 검토해야 할 규모가 방대하기 때문에 인력 충원이 필요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금감원에서 대우건설 분식회계 혐의를 감리하는 인원은 2명에서 4명으로 두배로 늘어났다.
일반 회사의 경우 1명 정도가 감리를 담당하는 사례에 비춰볼 때 비교적 많은 인원이라는 것이 금감원의 설명이다.
이 관계자는 "워낙 자료가 많아 감리가 끝나는 시기를 예측하기 힘들다"며 "지난해 12월부터 시작했는데 통상적으로는 6개월이 걸린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5~6월께 분식회계 여부가 드러날 가능성이 높다.
대우건설 감리는 내부 제보로 시작됐으며, 분식회계가 드러날 경우 최대주주인 산업은행, 외부감사를 맡은 삼일회계법인 등도 책임을 면하기 어려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금감원은 대우건설이 이달 3일 지난해 6000억원이 넘는 대규모 적자가 났다고 공시한 점에 주목하고 있다. 분식회계 혐의 조사가 시작되자 대우건설이 부실요인을 한꺼번에 반영했다는 추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