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48.5%, “존 케리 ‘과거 잊고 한일관계 개선’ 발언 비동의”
국민 48.5%, “존 케리 ‘과거 잊고 한일관계 개선’ 발언 비동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동의한다’ 33.1%…여야 정치권도 한 목소리 ‘유감’
▲ 존 케리 미 국무장관이 한일관계 개선을 압박하면서 과거사에 얽매여서는 안 된다는 논리를 펼쳐 반대 여론이 형성되고 있다. ⓒ 외교부

방한 중인 존 케리 미 국무장관이 거듭 한일관계 회복을 압박하며 양국이 과거사에서 벗어날 필요성을 강조한 것과 관련해 싸늘한 여론이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JTBC <뉴스9>이 현대리서치·트리움과 함께 14일 밤 전국 성인남녀 700명을 대상으로 유대전화와 유선전화 반반씩 RDD 전화면접조사를 실시한 결과, 케리 장관의 입장에 ‘동의한다’는 응답은 33.1%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과반에 육박한 48.5%로 나타났다. ‘잘 모르겠다’는 18.4%였다.

뉴스는 덧붙여 “케리 장관의 입장에 동의한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들은 일본과의 과거를 짚어야 하지만 미래가 더 중요하고, 일본과 경제적으로 많이 연관되어 있으며, 북한문제에 긴밀하게 대응하게 위해 관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등의 의견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반면, “동의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들은 과거청산을 하지 않고는 미래가 있을 수 없으며, 일본이 자신들의 잘못을 인정하고 사과해야 하고, 케리 미 장관의 발언은 미국의 입장을 대변하는 것일 뿐이라는 등의 의견을 보였다”고 말했다.

한편, 여야 정치권도 한 목소리로 케리 장관 입장에 유감의 뜻을 표했다. 이에 대해 홍문종 새누리당 사무총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주요당직자회의에서 “미래지향적 한일관계는 우리 역시 바라는 바”라면서도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분명한 전제조건이 있다. 바로 일본의 확실하고 분명한 사과와 역사왜곡 중단”이라고 강조했다.

홍 사무총장은 그러면서 “일본이 과거의 잘못을 인정하고 그 기조를 지켜나간다면 지금처럼 역사문제가 불거지지도 않았을 것”이라며 “그러나 일본은 일말의 반성 없이 역사왜곡과 망언을 수없이 반복하고 있다. 모든 원인제공을 일본이 했다”고 맹성토했다.

이어, “케리 장관이 양비론적 관점에서 한일 관계를 말하는 것은 역사적 특수성에 대한 이해부족이 아닌가 하는 아쉬움이 있다”며 “가해자와 피해자를 동등하게 봐서는 안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홍 사무총장은 “이에 관해 한국과 중국이 동등한 입장임을 케리 장관은 잘 살펴야할 것”이라고 덧붙여 강조했다.

민주당 한정애 대변인도 현안 브리핑에서 “일본 아베정권이 국내정치를 목적으로 도발적이고 무모한 역사왜곡을 조장한 본질적 측면이 간과됐다는 점에서 유감스럽다”며 “한일관계의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보다 명확한 이해와 이를 바탕으로 한 문제해결 노력을 기대한다”고 촉구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