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도 안 하는 짓을 여당이 하다니
야당도 안 하는 짓을 여당이 하다니
  • 윤여진
  • 승인 2006.01.09 18: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본인 의사와 관계없이 당원 등록 하고 당비만 빼 가
열린우리당이 관악구 일부 지역에서 65세 이상의 노인들을 본인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당원으로 등록시키고, 등록된 노인들의 교통수당 통장에서 매달 1,000~2,000원의 당비를 꾸준히 빼 간 사실이 드러났다. 최근 당 내.외적으로 커다란 혼돈 속에 빠져 있는 열린우리당으로서는 이러다가 당이 붕괴되는 것이 아니냐는 당 ‘붕괴설’까지 나오며 이번 사태의 수습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당의 부정적인 사실이 드러나자 가장 먼저 민감한 반응을 보이며, 움직임을 시작한 것은 열린우리당 지도부. 당의 지도부는 이번 사건이 기간당원제의 근간을 뒤흔들 수도 있는 중대한 사안이라고 인식하고, 관련자들에 대한 엄중 문책을 강조하는 등 파문을 조기에 진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는 분위기다. 열린우리당으로서는 기간당원제들이 당의 정체성과도 직결된 문제이기 때문에 누구보다 먼저 나서 사태 수습에 나선 것으로 분석되어진다. 이에 비상집행위원인 유선호 의원은 “미꾸라지 한 마리가 연못 전체의 물을 흐린다는 말처럼 이번 사건은 여당 50만 기간당원 전체의 명예를 훼손하고 사기를 꺾는 심각한 사건”이라고 하며, 강한 우려를 나타내기도 했다. 또한 당의 지도부에서는 “열린우리당의 가장 소중한 가치인 기간당원제를 뿌리 채 뒤흔들 수 있는 이번 사태는 처음부터 아예 싹을 잘라 버려야 한다”며 사건의 해결을 위한 단호한 의지를 드러내 보이기도 했다. 한편, 이번 사태에 대해 한나라당은 “열린우리당 소속 지구당에서의 당비대납 사건은 집권당의 범죄행위”라고 하며, 노 대통령의 사과를 촉구하는 등 정부와 여당을 향해 비난의 수위를 높였다. 한나라당 최연희 사무총장은 최고위원회의에서 “지방선거가 과열됨에 따라서 아마 열린우리당 소속 구의원이나 핵심 당직자들이 강제로 징수하는 일종의 세금과 같은 아주 나쁜 버릇들이 남아있는 것 같다”고 비난하기도 했다. 또한 이계진 대변인은 현안브리핑을 통해 “재정이 어려운 야당도 그런 범죄 행위를 하지 않는데, 하물며 여당인 열린우리당이 그런 범죄 행위를 하다니 재정이 그토록 어려운 것도 아니잖느냐”고 하며, 여당의 행태를 비꼬기도 했다. 현재, 열린우리당의 기간당원은 입당 후 6개월이 경과된 중앙당과 시도당이 실시하는 당원 기초교육을 이수한 자로서, 권리행사 60일 전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최근 6개월 이상 당비를 납부를 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