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의 화려한 전환점에 선 이들에게
자기 삶에 대해 흥미를 가지고 살아가는 사람은 인생길에서 뜻밖의 것을 성취해낸다. 책임감을 가지고 주변 사람들을 대하기 때문에 자신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들에게 활력을 제공한다. 또한 이런 사람들 대부분은 상대를 편안하게 하는 겸손함과 삶에 대해 감사하는 태도를 가지고 있다. 이런 사람들의 특성들이 바로 행복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 우리가 꼭 갖춰야 할 것들이다.
'권위를 가진 사람만이 대단한 일을 할 수 있다'라는 말은 굉장한 착각이다. 사회를 들여다보면 사회적인 지위로 볼 때 별로 눈길을 끌지 못하는 평범한 사람들이 놀라운 참여의식과 정직함으로, 공동체와 지역사회의 평화와 공존을 위해 얼마나 큰 공헌을 하고 있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 품위 있는 화두
홀거 라이너스의 남자 나이 50, 앞으로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에 대한 인생 설계, 즉 인생의 진정한 의미를 찾기 위해 신중하게 고민하는 50대들에게 비전, 가족, 정치, 섹스, 종교, 죽음 등 폭넓고, 품위 있는 화두를 제공한다. 인생의 2/3를 지나오며 그것을 결정할 수 있는 시기인 50대 남자들이 지나온 인생에서 얻은 것과 잃은 것을 저울질해 보고, 인생의 의미를 찾기 위해서 신중하게 중간결산표를 작성해야만 삶의 목적을 이룰 수 있다고 강조한다.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의 경험으로 얻어낸 통찰력을 바탕으로 지나온 삶을 반추하고, 어떻게 해야 인생의 진정한 의미를 찾을 수 있는지 스스로 답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중년의 위기 속에서 심각한 절망감과 삶에 대한 위축을 느끼며 하루하루 살아가는 이들에게 우울한 삶의 시나리오를 값진 청사진으로 바꿔줄 지침이 되어 줄 것이다.
◆ 나이 오십이 된다는 것, 인생의 전환점
나이 오십이 넘어서 드는 외모를 가꾸고 싶다는 생각들이 단순히 허영심일까? 이런 생각은 일종의 자기의식, 신체에 대한 긍정적인 자기의식이지 완전한 허영심이 아니다. 오히려 건강하게 살 수 있는 중요한 원동력이 된다. 나이를 먹을수록 자신만의 성적인 매력을 구성하는 개인적인 모든 분야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그리고 나이 오십이 넘은 사람은 자신이 생에서 남아 있는 시간과 그 시간을 매일 헤아려 보는 것, 즉 시간을 촉각으로 느끼는 일을 경계해야 한다. 의식적으로 남아 있는 시간을 느끼기 시작하면 시간은 자신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빨리 흘러간다. 당연히 시간은 자신을 짓누르는 압박으로 다가온다.
그보다는 사회적 야망을 꿈꿔야 한다. 그것은 사회를 생동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사회를 발전시키기 위해서, 목표를 제시하기 위해서, 그리고 도덕적인 범주를 고수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자극이다.
◆ 치열하게 고민하자
1970년대 말 무렵에는 ‘중년의 위기’를 주제로 한 토론이 많이 열렸다. 당시 나이 마흔을 넘긴 많은 남성들은 심각한 절망감과 위기의식에 사로잡혔다. 현재 중년 남성들의 삶은 어떤가? 통계로 볼 때 마흔 살을 넘긴 남자들의 삶은 그때보다 더 악화된 것으로 보인다. 고용상황은 특히 더 심각하다. 통계로 본 객관적인 상황이 이런데도, 오십대에 이른 남자들에게 ‘지금의 나이가 최고’라고 한다면, 이는 현실을 외면한 사탕발림이 될까?
앞으로 남은 새로운 반생을 위해 우리는 결단을 내리고 행동에 옮겨야한다. 물론 이렇게 하는 것이 지금 당장에는 불편하기 짝이 없지만, 아직 반이나 남은 우리의 인생을 위해서 꼭 필요한 것이다.
자신의 삶에 맞서 치열하게 고민하는 사람, 즉 나이 오십에 지나온 인생에서 얻은 것과 잃은 것을 저울질해 보고 인생의 의미를 찾기 위해서 신중하게 중간결산표를 작성하는 사람은, 삶의 목적을 이루게 될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인생에서 값진 다른 것도 얻게 될 것이다. 어느 정도 나이가 들었을 때, 이렇게 되었으면 하고 바라던 것을 얻고, 자신의 삶에 만족하고 삶을 느긋하게 바라볼 수 있는 행복함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50대들은 지금까지의 경험으로 얻어낸 미래의 삶에 대한 통찰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러한 통찰력을 바탕으로 지나온 삶을 되돌아보고, 인생의 진정한 의미를 찾도록 충분히 노력할 수 있고 또 그래야만 한다.
이 땅의 50대들이여, 중년과 위기는 더 이상 한 쌍이 아니다. 다시 한번 도약하라.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