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고 수준 에너지 밀도를 가지며, 제작단가를 리튬전지의 10분의 1 수준으로 낮출 수 있는 획기적인 금속공기전지 개발에 성공했다.
한국전기연구원 전지연구센터 엄승욱 박사팀은 kg당 최대 395Wh로 세계 최고 수준 에너지 밀도를 갖는 아연금속공기전지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
아연공기전지는 차세대 전지인 금속공기전지의 일종으로 기존 전지보다 높은 에너지 밀도를 구현할 수 있다.
금속공기전지는 한국전기연구원(‘KERI’)이 지난 2010년 선정, 발표한 ‘미래를 바꿀 10대 유망 전기기술’에 △종이 배터리 △마이크로 발전 △투명 태양전지 △무선 전력전송 △분산전원 △직류전원망 △전기자동차 △유연 투명전극 △무방열 LED 등과 함께 포함돼 있다.
장시간 전력이 필요한 미래 병사용 전원체계, 무인항공기 등의 군수분야 및 민수분야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전지에 비해 에너지 밀도가 우수하고, 안전성이 우수한 전지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KERI 엄승욱 박사팀은 방위사업청·국방과학연구소의 ‘2010 핵심기술과제(2010년 6월-2013년 12월)’을 통해 현대로템(주), ㈜미트 등과 함께 관련 연구를 진행해 왔다.
그 결과, 이스라엘, 중국 등에서 개발된 기존 금속공기전지(에너지 밀도 220~280Wh/kg 수준)에 비해서는 40% 이상, 리튬이온전지(최대 200Wh/kg 수준)의 경우 거의 2배에 달하는, 세계 최고의 에너지 밀도의 전지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개발된 아연공기전지는 고에너지 밀도의 특성을 살려 무인정찰기(Unmanned Aerial Vehicle), 초소형 무인항공기(Micro Air Vehicle), 개별병사의 운용전원 등 장시간 사용이 요구되는 다양한 무기체계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