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부 대기업들이 해외시장에서 매출을 크게 올리는 것과 달리 지난 10년간 중소기업들은 국내 내수시장에 더욱 심하게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4일 ‘중소기업 제품의 판로확대방안 연구 보고서’를 통해 지난 10년간 중소기업 제품의 국내판매 비중이 지난 2003년 81.8%에서 2012년 86.0%로 4.2%포인트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이와는 달리, 해외수출 비중은 18.2%에서 14.0%로 4%p 폭으로 줄었다고 설명했다.
국내총생산량(GDP)대비 민간소비 비중이 2003년 55.7%에서 2013년 50.6%로 낮아지는 등 내수불황 심화 속에서도 중소기업들의 내수의존도는 되레 높아진 셈이다.
실제로 보고서에 따르면 2003년부터 10년간 중소기업 제품의 총 판매액은 약 2.2배 증가했으며 국내판매는 2.3배 신장된 반면, 해외수출은 1.7배 증가했다.
대한상의는 보고서를 통해 "중소기업이 국내시장에 크게 의존하는 구조에서는 저출산 기조와 해외직구 증가, 대기업의 글로벌 아웃소싱 확대 등으로 성장에 한계가 있을 것"이라며 "내수시장에서 해외시장으로 관심의 폭을 넓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소기업이 주로 생산하는 중간부품의 국산화율은 지난 2005년 78.2%에서 2010년 74.7%로 하락하고 있는 반면, 해외 현지생산기업 비중은 6.7%에서 16.7%로 증가했다. 국내 소비자들의 온라인을 통한 해외 직접구매 역시 지난 2011년 560만건에서 지난해 1100만건으로 2년 새 두 배 가까이 확대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