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 이어 경기도 광주와 동두천에서도 생활고와 신병을 비관한 자살이 잇따르자 경기도가 수급자가 신청해야만 지원이 이뤄지는 현행 복지시스템을 찾아가는 복지시스템으로 전면 변경한다.
경기도는 4일 무한돌보미 2만 5천명 확대, 복지그늘 발굴팀 신설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복지사각지대 해소 종합대책’을 마련하고 안타까운 사례가 재발되지 않도록 도의 모든 역량을 결집할 것이라고 말했다.
먼저 도는 어려운 이웃에 대한 제보체계 다변화를 위해 지역사정에 밝은 통장과, 이장, 자원봉사자 등으로 구성된 무한돌보미를 현재 1만 2천명에서 2만 5천명으로 확대 위촉하고, 개인 집을 방문하는 우체국 집배원, 한전, 도시가스 검침원 등과 업무협약을 체결해 우편물 누적이나 전기세 체납자 등 잠재적 수급대상자를 시군에 제보하는 시스템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한 도는 교회, 성당, 사찰 등 종교시설과 경찰과 교육청 등 유관기관과의 협조체계를 마련해 제보활동을 강화하고 교사들의 가정 방문이나 3월에서 6월까지 읍면동에서 실시하는 주민등록 일제조사 활동과 병행해 복지사각지대에 대한 현황조사를 실시하기로 했다.
제보체계 강화와 함께 적극 제보자에 대한 인센티브도 마련했다. 도는 도지사 표창이나 박물관이나 공공주차장 할인, 복지명예통장 위촉 등의 혜택과 함께 읍면동별로 2명씩 복지위원을 위촉해 수당을 지원하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이에 경기도 관계자는 “도가 가진 역량을 총 동원해 이중 삼중의 복지 제보체계를 마련할 것”이라며 “복지정보 부족으로 극단적 선택을 하는 이웃이 없도록 홍보를 강화하는 한편 유관기관 및 민간자원과의 긴밀한 공조체계 유지를 통해 어려운 이웃을 지속적으로 지원해나가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