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길-안철수 “의료계 집단휴진 자제해 달라” 호소
김한길-안철수 “의료계 집단휴진 자제해 달라” 호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근본 원인 박근혜정부에, 원격의료-의료영리화 중단하라”
▲ 민주당 김한길 대표와 새정치연합 안철수 중앙운영위원장이 9일 공동기자회견을 열고 의료계의 10일 집단휴업에 대해 강한 우려를 표했다. 사진 / 유용준 기자

김한길 민주당 대표와 안철수 새정치연합 중앙운영위원장이 공공기자회견을 열고 10일로 예고된 의사협회의 집단휴진에 강한 우려를 표했다. 집단휴진에는 개원의 뿐 아니라, 대형병원 인턴과 레지던트 등 전공의들도 동참할 것으로 알려져 의료대란이 예상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 김 대표와 안 위원장은 9일 오전 국회에서 공동기자회견을 갖고 “의사들의 집단휴진이 현실화되는 것은 국민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는 일이 아니다”며 “어떤 명분도, 어떤 정당한 요구도 환자의 건강과 생명에 우선할 수는 없다. 의료계의 집단휴진 자제를 호소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그러면서도 이번 집단 휴진의 근본적 원인이 박근혜정부에 있다는 점을 명확하게 했다. 이에 대해서는 “그동안 여러 차례 정부가 추진하는 원격의료와 의료영리화 정책의 문제점을 지적한 바 있다”며 “공공의료 확충, 일차의료 활성화, 비급여에 의존하는 수가구조 개선 등 건강보험과 국민보건의 시급한 사안들은 외면한 채 추진하는 원격의료와 의료영리화는 중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여야정과 의사협회를 포함한 의료단체, 전문가, 가입자단체가 포함된 ‘의료공공성 강화와 의료제도 개선을 위한 협의체’를 만들 것을 제안한다”며 “이 과정에서 통합신당은 적극적인 역할을 다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밖에 두 사람은 이날 공동기자회견에서 ‘간첩 증거조작’ 의혹 사건과 관련해 국정원에 대한 비난을 쏟아내며 “대통령은 이 문제에 대해서도 계속 침묵하고 있고 검찰은 사건 관계자가 자살을 시도한 이후에야 진상규명절차를 수사로 전환하는 안이한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외국 정부로부터 우리 검찰이 위조된 자국의 공문서를 증거로 제출했다는 비난을 받는 상황에서 이토록 무책임한 태도를 보이는 것은 도저히 납득할 수 없다”며 “대통령께서는 지금이라도 이 문제에 대해 진상을 명백히 밝히고 책임자를 처벌하여 다시는 국가기강을 흔드는 이러한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단호한 조치를 취해주시기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만일 검찰의 수사로 부족하다면 정부 스스로 중립적인 특검을 임명해서 한 점 의혹을 남기지 않겠다는 자세를 가져야만 땅에 떨어진 신뢰를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특검 도입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이들은 이외에도 청와대 비서관의 6.4지방선거 개입 사건을 지적하며 “새누리당이 주장한 상향식 공천의 허구가 드러난 것이다. 이제라도 거짓의 정치를 버리고 약속을 지키는 ‘약속의 정치’ 대열에 동참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