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부가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실시를 위해 관련 조직을 대대적으로 개편한다.
교육부는 9일, 교과별 교육과정 개정과 이에 맞는 교과서 개발을 전담할 인원 32명을 보강하는 등 담당조직을 대대적으로 개편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교육부에 따르면, 개편에 따라 자체적인 심사안을 마련해 우선 시·도 교육청에서 12명, 국립특수교육원에서 1명 등 교육전문인원 13명과 현직 교사 13명을 파견받아 이달 초 교육과정정책과에 신규 배치했으며 추가 심사를 통해 전문직 3명을 추가로 뽑는다.
또한 관계부처와의 정원 증원 협의를 논의중으로, 완료되는 대로 교과 전담 전문직 16명을 추로 신규 선발할 예정이다.
또한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기존 ‘창의인재정책국’을 ‘교육과정정책국’으로, ‘교과서기획과’를 ‘교과서정책과’로 명칭과 세부 업무를 보다 구체화했다.
이에 따라 기존 교육과정 개편을 위해 투입된 인원과 새로 투입되는 인원을 합하면 총 60여명에 달하는 대규모 조직으로 편성되는 만큼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실시가 급물살을 탈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교육부는 오는 4월부터는 통합형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정책연구과제’를 공모할 방침이다. 이는 △총론시안 △통합형 교육과정 구성방안 △교육과정 개발방향 △국가교육과정 질 관리 △국어·영어·수학·역사·사회·과학 등 과목의 교육과정 재구조화 등 12개 항목으로 나뉜다.
뿐만 아니라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이 실시될 경우 외국어고·과학고 등 특수목적고등학교의 교육 과정에 대해서도 대대적인 수정이 필요하다고 판단, 현행 특목고 교육 과정에 대해 전반적인 수정안을 수립하기로 했다.
이에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체계적인 수립을 위해 대대적으로 조직개편을 한 것”이라면서 “이번 구조 개편으로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실시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