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이 통합을 선언하면서 기초선거 정당공천을 폐지하겠다고 선언했지만, 민주당 내부적으로 ‘공천폐지 회의론’이 번지고 있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19일, ‘기초선거 무공천 재논의 가능성’과 관련해 새정치비전위원회 백승헌 위원장이 “창당 전후를 불문하고 모든 의제가 열려 있다”며 “비전위가 현재 국민들이 무공천을 어떻게 보는지 모니터링을 진행 중”이라고 밝히면서 이 같은 회의론은 더욱 확산되기 시작했다.
논란이 커지자, 백승헌 위원장은 이날 오후 기자들에게 문자 메시지를 보내 “‘새정치를 위한 것이라면 비전위에서 어떤 의제도 다룰 수 있다’고 한 것은 일반론적인 얘기”라며 “의제 제한이 없다는 것이 기초선거 무공천 검토 시사로 확대 해석되는 것은 비전위의 입장과 다르다”고 적극 해명하고 나섰다.
하지만, 백 위원장의 이 같은 해명과 달리 민주당 내에서는 이미 ‘회의론’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무게감 있는 중량급 인사들이 앞장서 당내 여론을 조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파장은 더 클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와 관련, 정동영 상임고문은 지난 18일 <프레시안>과 인터뷰에서 “기초선거 무공천이 과연 안 의원이 얘기했던 새 정치인지 회의적”이라며 “무공천 결정으로 서울시 현역 구청장 20명이 대부분 낙선하고, 그 여파로 서울시장까지 놓치게 되면 안철수 의원 역시 그 정치적 책임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정 고문은 “무공천 약속은 기본적으로 여야 모두 무공천인 것이지, 새누리당은 공천하고 우리는 무장해제하겠다는 것이 아니다”며 “지금이라도 고쳐야 한다. 마키아벨리도 반드시 지켜야 할 불가피성이 없다면 잘못된 정치적 약속은 폐기해야 한다고 하지 않았냐”고 강조했다.
열린우리당 의장을 지낸 이부영 상임고문도 페이스북에 “대선 공약을 파기한 새누리당은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전개되는 선거판세에 회심의 미소를 짓고 있는 반면, 2번 기호가 사라지게 된 새정치민주연합 측 구청장 시장 군수를 비롯한 기초의원들은 무소속 후보로서 난립하는 후보들 속에서 망연자실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쪽이 일방적으로 공약을 파기했는데 다른 쪽에서는 그에 따른 손해를 감수하면서 공약을 지키는 것이 무의미해졌다”며 “아직 늦지 않았다. 더 큰 집을 짓기 위한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정당공천 폐지 철회를 촉구했다.
원내대표를 지낸 박지원 의원도 20일,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기초단체 정당공천을 저는 줄기차기 주창(했다)”며 “타당은 공천하고 우리만 폐지하면 후보난립 등 혼란으로 패배, 조직도 와해(된다)”라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덧붙여 “당내, 새정치비전위, 언론에서도 부활론을 제안. 통합은 승리를 위해, 승리해야 새정치가 가능하다. 기초단체 정당공천 재검토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