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주자 주거복지 향상 위해 절전 기능 강화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28일 국가적 에너지 위기에 대응하고 입주자의 주거복지 향상을 위해 절전기능이 강화된 '절전형 임대주택'을 공급한다고 밝혔다.
LH는 이를 위해 주로 사무실이나 공용부위에 적용되던 LED 조명기구를 아파트 단위세대에 도입키로 했다.
LH는 이달 초 'LED 조명기구 적용성 실증테스트'를 마치고 세부적용기준을 수립했다. 그리고 이달 발주 분부터 LH 임대주택 거실 등에 LED조명기구를 적용하고 있다.
테스트 결과 LED는 빛의 직진성이 강한 특성으로 인해 세대 내 조도와 음영부분이 우려됐으나, 발광소자의 분산배치 및 등기구 커버재질 변경으로 실내조명에도 충분히 적용 가능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기존 형광램프를 사용하는 거실 등에 비해 LED는 37~50%정도 에너지 절감이 가능하고, 수명 또한 3배 이상 긴 것이 장점으로 확인됐다.
LH는 실내조명에도 LED적용을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며, 2020년까지 LED조명비중을 60%까지 확대하기 위한 정부의 2060계획을 선도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아울러 세대 내 전기콘센트에 대해서도 대기전력 자동차단 콘센트 적용비율을 40%이상 상향 적용해 대기전력 낭비요인을 줄여나갈 예정이다.
LH 관계자는 "이 같은 에너지절약 설계기준 강화로 임대주택 입주자의 관리비 연간 7억6000만원 절감(가구당 1만9000원/년) 및 국가적인 에너지 절약(5280㎿h/년)에 기여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시사포커스 / 하준규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