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일을 국빈방문중인 박근혜 대통령이 28일 통독의 상징도시 ‘드레스덴’에서 기조 연설을 한다. 이 연설엔 연초 제기한 ‘통일 대박론’을 구체화한 통일 구상이 담길 예정이다.
이날 <연합뉴스>에 따르면, 청와대 관계자는 박 대통령이 독일 5대 명문 중 하나로 손꼽히는 드레스덴 공대에서 정치법률분야 명예박사학위를 받고 행하는 기조연설에서 ‘통일대박론’을 뒷받침하는 진전된 통일 구상을 내놓는다고 전했다.
이 연설은 북한비핵화를 전제로 한 남북 경제협력 확대, 인도적 지원 확대, 통일 한반도의 청사진 등을 골자로 한 ‘통일 독트린’의 성격을 띨 것으로 보인다. 경협 확대 방안에는 낙후한 인프라 건설이나 농촌 개발, 주민생활고 해결 등 다각적인 지원계획이 담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단순한 경제 협력을 넘어 정치와 행정·교육·문화 교류까지 망라하는 포괄적인 대북지원 방안이 담기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 박 대통령은 ‘북핵 불용’ 원칙을 거듭 강조하는 한편, 핵무장을 지속할 경우 국제사회가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지적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더불어 제2의 개성공단 조성사업 발표와 이산가족 상봉의 정례화 제안도 담길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이 연설의 장소로 선택한 드레스덴은 독일 통일의 과정과 독일 국민들의 열망, 의지를 상징하는 도시로 꼽힌다. 드레스덴은 1989년 12월 19일 한시 모드로 동독 총리와의 정상회담을 위해 방문했던 헬무트 콜 서독 총리가 “역사적 순간이 허용한다면 저의 목표는 한결같이 우리 민족의 통일”이라는 연설을 했던 곳이다. 이 연설은 독일 화폐통합과 독일 통일의 기폭제가 됐다.
게다가 통일 이후 눈부신 성장을 기록한 도시라는 역사도 가지고 있다. 드레스덴은 제2차 세계대전 말미에 연합군의 융단폭격으로 25만 명이 사망하며 잿더미가 됐지만, 통일 후 유럽의 대표적 과학비즈니스 도시로 성장했다. 드레스덴은 2000년 이후 연평균 14%대의 성장률을 기록하는 등 급성장했고, 그 결과 2011년 기준 1인당 국내총생산은 2만8816유로에 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