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공무원에서 교육부 차관으로 - 교육의 미래를 맡긴다
노무현 대통령은 최근 8개 부처 7개청 차관급 15명의 인사를 임명하며, 이기우 국무총리 비서실장을 교육인적부 차관으로 내정했다. 이번에 임명된 차관 인사 중 누구보다도 언론으로부터 대대적인 조명을 받은 이기우 교육차관은 고졸출신으로 9급 공무원부터 시작해서 신화를 이루어낸 인물이다.
100년에 한번 나올만한 공직자라는 인물평을 받고 있는 이 차관의 인물됨과, 국민들의 최대 관심사인 교육문제에 대해 시사신문은 이 차관을 직접 만나 꼼꼼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코드가 아닌 성실이 이유다
신임 교육인적부 이 차관은 성실성과 책임의식, 그리고 겸손함을 지니고 있는 인물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렇기에 세간의 삐딱한 시선으로 흠집 잡기의 ‘코드인사’가 아니겠느냐 하는 말들은 결코 어울리지도 않을뿐더러 오히려, 괜한 부러움의 시선 정도로밖에 보여지지 않는 것이다.
일부 언론들은 이 차관의 임명을 놓고 이해찬 총리의 코드인사가 아니냐는 의문의 시선을 던지기도 한다. 그러나 설령 이 차관이 그러한 코드인사였다고 할지라도 그는 충분히 교육인적부 차관직을 맡을만한 자격이 충분한 인물임에 틀림없다.
이 총리 주위에 학력 좋고, 능력 있는 인물이 어디 한둘이었겠는가 하는 것이다. 그것만으로도 이 차관은 충분히 높은 평가를 받아 마땅하다. 코드인사라고 하며 이 차관을 흠집 내기 하려드는 일부 언론을 오히려 국민들은 ‘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국민들의 ‘희망’과 ‘가치’를 어떻게든 꺾어 버리려하는 그들 언론은 오히려 ‘고졸 출신이 성공할 수 있는 세상을 경계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는 의심을 품게 만들고 있다.
◈검증받고, 준비된 업무능력
이 차관은 그동안 총리비서실장직을 수행하며 취임 후 1년 6개월간 8차례에 걸쳐 이해찬 총리의 국외 순방시 수행하여 헝가리,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싱가포르, 베트남, 중국, 사우디아라비아, 필리핀, 독일, 우크라이나, 프랑스 및 중동아시아 5개국 등 17개국을 공식 방문하였으며, 외국과 한국의 대사들을 수시로 접견하면서 제계 각국과의 상호 협력, 우호 증진에도 많은 역할을 하였다.
또한 이 차관은 지난해 1년 동안 국정의 중대사를 심의 결정하는 국무회의, 고위당정회의, 국정현안정책조정회의, 부동산정책회의, 지방 및 수도권발전대책회의 등 국정 전반에 걸쳐 1천여회 이상 회의에 참석하여 총리를 보좌하는 등 총리비서실장으로서 탁월한 역량을 발휘하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처럼 이미 검증받은 능력이 있기에 이 차관이 자리 채우기 식의 인사도 결코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더욱이 그는 교육인적부 차관으로서 현재 우리 사회의 교육에 대해 충분한 대책 또한 가지고 있어 누구보다 적임자라는 것을 확인할 수도 있게 했다.
국민들에게 있어서 항상 커다란 관심사가 되어왔던 것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정부의 입시정책이었다. 적응할만하면 바뀌고, 바뀌는 입시정책. 무언가 대책이 필요하고, 정부의 일관성 있는 정책도 필요했다. 이에 대해 이 차관은 나름대로의 문제의식과 대안책을 가지고 있었다.
“홍보 부족이 가장 큰 문제였던 것 같습니다. 사실상 입시정책은 그렇게 큰 틀에서 변화를 하고 있었던 것은 아니었는데, 조금 시간을 두고 충분히 현장에 변화하는 입시정책에 대한 홍보를 하지 못 했던 것이 혼란의 원인이었던 것 같습니다”라고 말하는 이 차관은 교육인적부 차관으로 취임한지 불과 며칠밖에 되지 않았음에도 입시정책과 관련된 뚜렷한 문제점과 대안책을 가지고 있었다.
◈사학법은 정치권에서 원만한 해결을
또한 사학법 개정안 문제 등 교육관련 정국이 혼란스러운 상황에 이 차관의 어깨는 더욱 무거워질 수밖에 없는 것이 사실이다. 사학법 문제 때문에 정치권이 중심을 잡지 못하고 있다면, 교육부라도 흔들림 없는 모습으로 국민들의 불안한 마음을 달래주어야 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차관의 입장은 역대 어느 교육부 차관보다 무거운 것 또한 사실이다. 이미 국회에서 사립학교법이 통과되었기 때문에 사학법은 기정사실화 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내 놓은 이 차관은 "그것(사학법)은 국회에서 잘 해결 하리라 본다. 사학법이 재개정 되어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다만, 결정된 법안에 따라 교육인적부가 지원할 것이 있다면 지원하고, 이견을 낼 것이 있다면 이견을 내겠다“고 하며 국민들의 걱정이 최소화 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이처럼 나름대로의 소신을 가지고 있는 신임 교육인적부 이기우 차관. 끊임없는 노력과 자기 발전을 통해 얻은 값진 자리인 만큼 그 위치에 맞는 묵직한 모습에 국민들이 거는 기대가 크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