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실적, 배당주에 몰렸네
펀드실적, 배당주에 몰렸네
  • 하준규
  • 승인 2006.02.11 20: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식편입비율 낮을 수록 수익 높아
지난주 펀드시장에서는 하방 경직성이 강한 배당주 펀드들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성과를 나타냈다. 펀드평가사 제로인이 지난 10일(금) 아침에 공시된 펀드의 영업 기준가격을 분석한 결과, 주식 편입비중이 70%를 초과하는 성장형 펀드는 1주일동안 평균 -3.80%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금요일 종가기준으로는 주가지수가 소폭 상승했으나 금요일 펀드 기준가격의 비교대상이 되는 목요일 종가기준으로는 -3.84%(코스피지수) 하락했기 때문이다. 성장형보다 주식투자비중이 낮은 안정성장형(40~70%) 펀드들은 평균 -1.72%, 안정형(10~40%) 펀드들은 -0.85%로 집계됐다. 이 와중에서 배당주 펀드들의 성적이 비교적 양호하게 나타나면서 배당주 펀드비중이 높은 운용사들이 주간수익률 상위권에 랭크됐다. 성장형 펀드 운용사 29개사(총규모 300억이상) 중에서 한화운용, 신영운용이 각각 -1.64%, -2.18%로 주간수익률 1,2위를 차지했고 한국운용(-2.54%), 세이에셋운용(-2.86%), 신한BNPP운용 (-2.92%)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올들어 양호한 수익 흐름을 보여주고 있는 채권형 펀드는 지난 1주일도 강세를 지속했다. 채권형 펀드들의 평균수익률이 연 7.43%를 기록한 가운데 장기 채권형 펀드는 연 9.15%에 달하는 초강세를 보였다. 이는 장기물 위주의 채권가격 상승에 기인하는 것이다. 지난 9일(목) 종가기준으로 통안채 1년물 유통수익률은 4.56%로 1주일간 0.02%포인트 하락(가격상승)에 그친 반면 국고채 5년물은 5.02%로 0.09%포인트나 하락했다. 이로인해 잔존만기가 긴 채권의 비중이 높은 장기채권형 펀드가 채권가격 상승혜택을 가장 많이 받게 된 것이다. 작년 12월초 보유종목을 분석한 결과 유형별 보유채권의 평균 듀레이션(잔존만기 유사개념)은 시가채권펀드 전체로는 1.39를 기록한 가운데 장기형이 1.50, 단기 1.39, 중기 1.29 순이었다. 운용규모 300억원 이상 채권형 펀드 운용사중에서는 KB운용이 1주일간 연 14.00%로 가장 높은 수익을 냈고 푸르덴셜운용과 PCA운용이 각각 연 12.12%, 연 10.45%로 그 뒤를 이었다. 한편 자산운용협회에 따르면(02/09일 기준) 지난 한 주간 총 수탁고는 1조 5,862억 증가한 212조 2,910억으로 집계됐다. 증권 및 단기 자금의 주간증감을 살펴보면 주식형은 3,782억, MMF는 1조 6,321억이 증가한 반면 채권형 및 혼합형은 △채권형 -2,060억, △채권혼합 -808억 △주식혼합 -442억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