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노총 12일 ‘국민철도‧건강 지킴이 1천인 노동자 실천단’을 출범해 정부의 철도‧의료 민영화 및 규제 완화를 반대하기 위해 투쟁에 돌입했다. 본 투쟁에 의료연대본부‧전국사회보험지부‧전국철도노동조합 등에서 총 1362명 참가 서명을 했다.
민주노총은 선언문을 낭독하며 “세월호 참사를 통해 우리사회는 규제 없는 무한 이윤추구와 효율성을 앞세운 공공성 파괴가 어떤 사회적 재앙을 초래하는지 목격하고 있다”며 “정부의 민영화 정책을 알리고 최일선에서 투쟁할 노동자 실천단을 구성했다”고 전했다.
이어 “탐욕스런 자본과 무책임한 정부가 생명을 짓밟고 공공성을 파괴했다”며 “민영화를 막지 못한다면 바다의 참사가 철도·병원·학교에서 반복되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지적했다.
우지영 의료연대본무 서울대분회 조직부장은 “의료민영화가 진행되면 상상을 초월하는 의료비 폭등을 불러올 것”이라며 “환자들의 눈과 귀를 막고 안전과 건강을 위협하는 의료민영화는 즉각 중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재길 사회보험지부 지부장은 “김영삼 정부가 대대적인 규제완화를 추진한 이후 서해 훼리호 침몰사고,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등이 연이어 일어났다”며 “규제완화를 통한 과잉진료는 국민을 죽여 가는 것”이라고 강력히 비판했다.
출범한 실천단이 수행할 4대 과제는 ▲6.4 지방선거에서 민영화 세력 심판, ▲의료민영화 반대 100만 서명운동, ▲철도 국민채권 구입운동, ▲작은 생활 실천운동 등이다.
이와 관련 민주노총은 오는 22일 지방선거 후보 초청 민영화 국민대토론회를 개최하며, 24일은 ‘생명(백의)과 안전(주황 작업복)의 물결’ 행진과 세월호 희생자 추모 및 진상규명을 위한 촛불집회를 개최한다. [시사포커스 /권노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