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일 오후 4시 32분경 서울 마포구 서울화력발전소(당인리발전소)에서 폭발음이 울렸다.
이번 사고는 당인리발전소에서 중부전력소로 전기를 보내는 중 변압기(4호기)가 폭발하면서 발생했다. 변압기 용량은 160MVA다.
갑작스런 폭발음에 인근 주민들은 크게 놀라 밖으로 뛰어나왔고, 신고를 받은 인근 소방서에서 출동한 소방차들과 구급차들은 사이렌을 울리며 사고 현장으로 달려갔다.
현장을 바라보던 주민들은 불안한 감정을 억누르고 있는 듯 했다. 이들은 얼마 전에도 사고가 발생했기 때문에 사이렌 소리만 들어도 화들짝 놀란다고 입을 모았다.
6개월 전인 지난해 11월 13일 오전 5시 30분 도시가스 배관이 과부하로 폭발하는 사고가 났다. 주민들은 폭발음으로 잠에서 일어났지만 불안함을 감출 수 없었다.
이보다 앞서 지난해 6월 1일 밤에도 이번 폭발과 같은 변압기 폭발 사고가 발생했다. 출근했던 이들도 거의 모두 퇴근해서 휴식을 취하고 있는 상황에서 변압기가 폭발하자 당인리 인근 지역은 아수라장이었다. 소방차 20여 대가 출동해 화재를 진압했지만 그 사이 주민들은 마음을 졸이며 이를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는 당인리화력발전소는 우리나라 최초의 화력발전소다. 1930년에 완공돼 발전을 개시한 지 올해로 84년째다.
그동안 지속적인 관리가 있었다고는 하지만 80년이 넘은 발전소이다 보니 잦은 사고를 피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대선 당시 당인리발전소 이전을 약속했지만 마땅한 부지를 찾지 못하고 결국 현재의 발전소를 지하화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다. 800MW급 화력발전소를 지하에 건설하고 지상에는 시민 휴식공간을 세울 계획이었다.
그러나 지역주민들은 이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우선 여론수렴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일부 주민들에게 사전교육 시킨 후 두세 차례 모여서 안건을 통과시킨 것은 형식적인 절차에 지나지 않았다고 비판하고 있다.
이들은 안전성 검증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무작정 발전소 건립을 추진하게 될 경우 자칫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현재도 국내 각종 발전소에서 사고 소식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에 발전소 안전성에 대한 공감 없이 그대로 진행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꼬집었다.
지난해 5월 서울화력발전소 폐쇄주민대책위원회(대책위)는 박홍섭 당시 마포구청장의 주민소환을요구했다.
대책위는 가스발전소 1000배에 달하는 공간에 지하 발전소를 건설하는 것은 지역주민의 목숨을 담보로 하는 실험이라고 강하게 반발하며 발전소를 지하에 두고 지상에 공원을 조성하는 것은 말장난에 불과하다며 집단행동에 나설 수 있음을 시사했다.
세월호 침몰 사고로 인해 정부적 안전시스템 마련해야 된다는 여론이 거세지고 있는 상황에서 단순히 대통령이 공약한 바를 지키기 위해 안정성조차 확보되지 않은 채 발전소를 지하화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당인리발전소 인근에 거주하는 최모(여·51) 씨는 “20년 넘게 이곳에서 살고 있는데 지금은 불안해서 다른 곳으로 이사 가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다”며 “발전소가 필요한 것은 당연하겠지만 주민들이 불안해하는 사업을 꼭 해야하는지 모르겠다. 세월호 사고 후 내가 죽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어 불안한 마음뿐이다”고 불안감을 드러냈다. [시사포커스 / 전수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