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대학교병원 및 서울아산병원 의료진은 세계최초로 유전자 당형성 분석(유전자 검사)을 통해 간암환자 남은 수명을 확인할 수 있는 연구에 성공했다.
울산대학교병원(병원장 조홍래) 소화기내과 박능화‧신정우 교수팀은 21일, 만성 B형간염으로 간암이 발병한 환자 1559명을 대상으로 단일 염기 다형성 분석(유전자 검사)을 실시한 결과 ‘말단소립(텔로미어)’에 관련된 유전자가 간암의 발생과 환자의 생존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단일 염기 다형성’이란 특정 유전자 DNA의 염기서열 내, 서로 다른 염기 두 개의 자리가 바뀌는 것이다. 또 ‘말단소립(텔로미어)’은 세포시계의 역할을 담당하는 DNA의 조각들로, 세포가 분열할 때마다 조금씩 짧아져 점차 노화돼 죽는다.
그러나 암세포는 세포가 죽지 않도록 돕는 ‘텔로머라제라’는 효소가 활성화돼 암을 치료하는데 장애 요소로 지적되어 왔다.
이에 병원측은 “박‧신 교수팀이 말단소립과 관련된 유전자를 연구한 끝에 여러 개의 유전자 다형성이 만성 B형 간염에 의한 간암의 발생과 진행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세계 최초로 밝힌 것”이라고 설명했다.
환자 몸속에 이들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거나 해당 유전자의 활동량이 높으면 그만큼 암 발생과 재발 가능성이 높고, 수명이 줄어들 수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박능화 울산대병원 소화기내과 생의과학연구소장은 “말단소립 유전자에 대한 연구로 단일 염기 다형성 중 위험도가 높은 염기 다형성이 많을수록 생존기간이 줄어든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이번 연구결과로 만성 B형 간염 관련 간세포 암종 환자에 대한 수술 후 재발과 생존기간 예측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세계적인 권위지 ‘간장학(Hepatology)’ 5월호에 박‧신 교수팀의 연구결과가 게재됐다. [시사포커스 /권노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