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관피아 척결’ 무색, 안대희 전관예우 논란
박근혜 ‘관피아 척결’ 무색, 안대희 전관예우 논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퇴직 후 변호사 5개월 간 16억 수익, 野 “총리지명 재고하라”
▲ 안대희 신임 국무총리 후보자가 대법관 퇴임 후 변호사 생활을 하며 5개월 간 16억원이라는 거액의 수익을 올린 것으로 드러나 전관예우 논란에 휩싸였다. 사진 / 뉴시스

세월호 사고로 ‘관피아’ 척결 문제가 박근혜 대통령 국정운영의 핵심 아젠다로 떠오른 가운데, 안대희 신임 국무총리 후보자가 대법관 퇴직 후 변호사 생활을 하며 5개월 간 16억원이라는 거액의 수익을 올렸던 것으로 확인돼 전관예우 논란에 휩싸였다.

이 같은 논란이 일자, 안대희 후보자는 26일 일단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재산에 대해서는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야당은 이에 대해 총리 후보직 지명을 재고해야 한다는 입장까지 밝히며 전면적 공세를 펼치기 시작했다.

김한길 새정치민주연합 공동대표는 이날 오전 부천시 송내 북부역 공사현장 안전점검을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세월호를 반성한다면서 5달 동안 16억 원, 하루에 천만 원씩 벌었다는 사람을 새 국무총리로 내세운 건 국민의 분노에 반하는 일”이라며 “전관예우도 이렇게까지 심한 경우는 없었다고 하는데, 바로 이런 것이야말로 박근혜 대통령이 말하는 적폐요, 공직사회의 암 덩어리가 아니고 무엇이겠냐”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김 대표는 그러면서 “박근혜 대통령은 안대희 전 대법관의 총리지명을 재고하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최원식 전략기획위원장도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국민안심선대위 본부장급 상황점검회의에서 “언론보도에 따르면 안대희 총리 후보자는 지난해 7월부터 같은 해 말까지 5개월 동안 16억원을 번 것으로 보도되고 있다”며 “또 소득의 대부분은 주로 조세관련 소송을 맡은데 따른 수임료와 자문료 등이라고 한다. 계산해보면 안 후보자는 일당이 천만원이나 되는 전관예우로밖에 볼 수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최원식 위원장은 이어, “문제가 더 심각한 것은 안 후보자가 세무조사 적정성을 위해 지난해 출범한 국세청의 세무조사 감독위원회 초대 위원장을 지낸 점”이라며 “세무조사 감독을 위해 생긴 그 위원회의 초대위원장이면서도 조세사건으로 이렇게 과다한 소득을 올렸다는 것이 과연 적정한 것인지, 또한 포괄적인 직무관련성이 있는 업무를 수임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에, 최 위원장은 “박근혜 대통령이 천명한 관피아 척결, 권력유착의 대표적 사례가 아닌가 생각한다”면서 “지난번 정동이 대통령 민정수석비서관이 감사원장에 내정됐다가 대검 차장 검사로 퇴임한 지 11개월 동안 7억원을 번 것으로, 전관예우리는 사실만으로 낙마된 것으로 기억하고 있다”고 총리 부적격 주장을 펼쳤다.

최 위원장은 “안대희 총리 후보자가 인사청문회의 관문을 넘어서기 어려울 것으로 보이기도 하고, 또 넘어서서는 안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25일에는 박범계 원내대변인도 “안대희 내정자의 재산증식과정이 예사롭지 않은 것 같다. 2006년 대법관 인사청문회 때의 재산이 2억 5천만 원이었는데, 2012년 대법관 퇴임시 재산 9억 9300만 원으로 훌쩍 증가했다”며 “지나친 증가액”이라고 의혹을 제기했다.

박 대변인은 “퇴임 이듬해인 2013년 7월 변호사 개업을 해 5개월 동안 16억 원의 수입을 올린 것으로 전해진다. 또한 개입 3개월 만에 서울 회현동에 있는 주상복합 아파트를 12억 5천만 원에 매입했다고 한다”며 “이상하다. 수입과 지출의 시점이 딱 들어맞지 않는다”고 안 후보자의 명확한 소명을 요구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