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가 논란이 되고 있는 과거 자신의 칼럼 및 강연 내용들에 대해 공식 사과 입장을 표했다.
문창극 후보자는 15일 오후 서울 창성동 서울정부청사 별관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내가 한 말, 내가 쓴 글들에 대해 쏟아지는 비판을 보면서 몹시 당혹스럽고 놀라웠다”며 “본의와 달리 상처 받으신 분이 계시다는 것을 알았다. 그분들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문 후보는 특히, 칼럼 및 강연 등을 통해 “우리 힘으로 위안부 할머니들을 감쌀 수 있어 일본으로부터 사과를 받아 않아도 된다”는 취지의 발언을 해 논란이 일고 있는 것과 관련해 “일본이 진정한 사과를 먼저 해야 한다고 강조한 것”이라며 “진실한 사과가 전제되지 않고 금전적 배상에 치우치는 것 같은 당시 협상에 대해 지적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일본에 대한 내 역사 인식은 여러분들과 하나도 다르지 않다”고 강조했다.
문 후보는 거듭, “왜 일본은 독일처럼 사과를 하지 못할까. 왜 좀 진정성 있게 사과하지 않을까. 그러면 양국이 같이 앞으로 나갈 수 있을 텐데 하는 안타까움에서 쓴 글”이라고 말했다.
문 후보는 또, 교회 강연에서 ‘식민 지배는 하나님의 뜻’이라 발언했던데 대해서도 “이것은 일반 역사 인식이 아니라 교회 안에서 같은 믿음을 가진 사람들과 나눈 역사의 종교적 인식”이라며 “전체 강연 내용을 보면 아시겠지만 우리 민족에게는 시련과 함께 늘 기회가 있었다는 취지의 강연을 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조선 민족이 게으르다’고 한 말은 제 얘기가 아니라, 1894년 영국 왕립지리학회 회원인 비솝 여사의 기행문 ‘조선과 그 이웃 나라들’에 나오는 말”이라며 “비솝 여사가 관찰한 바에 따르면 당시 조선 사람들이 일하지 않는 것은 양반들의 수탈 때문이었다고 한다”고 말했다.
문 후보자는 “당시 조선의 위정자들과 양반들의 행태와 처신을 지적한 것”이라며 “나라가 잘 되기 위해서는 위정자들이 똑바로 해야 한다는 취지로 발한 것이었다”고 적극 해명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병세가 위중한 상황에 비판적 칼럼을 써 논란이 된데 대해서도 문 후보자는 “가족들과 그분을 사랑하는 모든 분들께 몸시 서운한 감정을 갖게 한 것은 사실”이라며 고개를 숙였다.
이어,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직후 비판적 칼럼을 쓴데 대해서도 “현직 대통령인 국가 원로가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방법을 선택한 것은 공인의 행동으로는 적절하지 못했다는 것을 언론인으로서 지적한 것”이라며 “유족들과 국민들께 불편한 감정을 갖게 해드렸다면 송구스럽다”고 사과했다.
문 후보자는 “지금 문제가 되고 있는 것들은 모두 언론인 시절 언론인으로서 한 것이었다”며 “공직을 맡게 된다면 그에 맞는 역할과 몸가짐을 해야 한다고 믿는다. 제 진심을 알아주시길 간절히 바란다”고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