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 장관차출, 양극화 해소 방안과 저출산 고령화 대책 논의
23일 청와대에서 노무현 대통령과 열린우리당 정동영 의장은 만찬을 갖고 당청관계 재정립과 지방선거 출마 장관 선정, 양극화 해소 방안 등을 주제로 의견을 나눴다.
비공개로 진행된 이날 회동에 대해 표면적으로는 정 의장의 취임인사 형식을 빌리고 있으나 정치적 의미를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그러나 회동에 대해 열린우리당 대변인실에서는 “만찬은 약 두 시간 정도진행”되었고 “진행된 분위기는 매우 화기애애했다”고 전했다.
또 “이 자리는 정동영 의장이 당의장에 당선된 이후 당을 배려하고 격려하는 차원에서 마련”된 것이라며 “양극화 해소 방안과 저출산 고령화 대책에 관한 사항이었다”고 말했다.
교육양극화와 관련해서는 “3월 중 실업고에 대한 대통령의 격려가 필요하다”는 정 의장에말에 노 대통려은 동의했고, 재원 마련에 관해 “월급쟁이의 유리지갑을 손대는 일이 있어서는 안된다”라는 말에 “근로소득자와 영세 자영업자의 부담을 늘리지 않겠다. 세출 구조조정과 조세 형평성 제고를 통해 재원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지방선거와 관련된 내용에 대해선 “현재 광역단체장 후보만 후원회를 꾸릴 수 있고, 기초단체장 후보가 후원회를 꾸릴 수 없는 상황에서는 선거비용을 보존하는 방안 등은 대폭 확대할 필요가 있고, 그래서 선거공영제가 매우 중요하다”고 의견을 모았다.
장관들의 지방자치 선거 출마와 관련해 정 의장은 “무엇보다도 본인의 의사가 가장 중요하고 본인이 결심하고, 나서 준다면 그것을 존중해야 한다. 당으로서는 적극적으로 환영한다”고 말했고, 전당대회 관련해서는 “이번 전당대회를 통해서 당이 활력을 찾는 계기가 되었다” 전달했다.
당정청 관계와 관련해서 “그동안 당정청 간의 소통의 문제가 일부 있었다. 지도부의 빈번 교체가 그 주요한 원인이었지만 어쨌든 국민들에게 집권여당이 안정감을 주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앞으로 당정청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한 몸 공동체로서의 면모를 보임으로서 참여정부의 성공을 이끄는 선도적인 역할을 당이 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