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은 교육부가 제시한 전임자 복직 시한 21일을 앞두고 전임자 70명 중 39명만 현장 복귀를 결정했다.
전교조는 17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본부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무차별적인 대량 해직을 막기 위해 고육지책으로 일부 전임자들의 현장복귀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어 “70명의 전임자들이 복귀 신청서를 쓰는 순간 전교조 사업은 전면 중단될 것”이라며 “정부가 최소한의 전교조 집행 인력을 인정하고 노조로서의 실질적인 역할을 지원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전교조는 또 “전임자 전원이 미복귀할 경우 앞으로 끊임없이 피해자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이 있었다”며 “주로 정책과 대안을 생성하는 본부와 서울지부의 전임자를 많이 남기고, 지부 전임자들은 현장 중심의 운영체계를 만들어 나가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장에 복귀하는 교사들의 경우 직책은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며 “다만 현장에서는 전임자 역량에 집중하기 어렵기 때문에 더 많은 현장 간부들을 선출해 역할을 분담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교조 전임자 중 미복귀 전임자 31명은 본부와 지부 각각 10명, 21명이다.
한편 전교조는 이달 중 조직 재정비와 중·장기적인 전략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출범할 예정이다.
전교조는 “‘제2기 진보교육감 시대’에 맞춰 혁신학교 운동의 발전을 위한 사업에 집중할 것”이라며 “혁신학교 강화를 위한 사업을 전진 배치하고 학교업무 정상화, 입시제도 개혁 등을 통해 학교 혁신을 위한 토대를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