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박스 분석만 6개월, 원인규명 최소 1년 소요
공군은 17일 광주 도심에 추락한 헬기 교신기록 공개 여부에 대해 공군이 아니라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에서 판단할 사안이라고 19일 밝혔다.
공군은 이날 입장자료를 통해 “소방헬기 사고와 관련해 공군은 당시의 교신기록을 포함한 모든 자료를 국토부 사고조사위에 제출했다”면서 그같이 말했다.
공군은 제1전투비행단의 관제 부실 의혹에 대해 “공중 충돌 등의 상황이 아닌 이상 관제사는 비행고도만 지시해 준다”고 밝혔다.
공군은 “일각에서 고도를 서서히 올리도록 지시하지 않았다면 관제 잘못으로 봐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전혀 근거가 없다”고 일축하며 “지시된 고도까지 상승하는 과정은 조종사가 항공기 특성 등 여러 상황을 고려해 결정하는 부분이다”고 말했다.
한편 사고조사위는 블랙박스를 프랑스로 보내 망가진 프로그램을 복원한다. 사고조사위는 현재 논란이 분분한 사고 헬기의 기체 결함, 저공비행, 항로이탈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정확한 사고 원인을 알아낼 계획이다. 하지만 블랙박스 분석만 최소 6개월 이상이 소요돼 사고 원인 규명 시간은 1년 정도 예상된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